북·동구, 후보 단일화 무산 범진보 표심 향배 초미관심
중·울주, 젊은층 많은 대단지 아파트 표심 당락 가를듯

제21대 총선 공식선거운동을 하루 남겨둔 가운데 6개의 금배지가 걸린 울산에서 범여권과 야권간 ‘굳히기’ ‘뒤집기’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총선판을 뒤흔들 것으로 전망됐던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사건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사실상 묻혔고, 대신 코로나에 대한 정부 대응을 두고 ‘야당 심판’과 ‘정권 심판’이 정면 충돌하면서 예측 불허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전국적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사전투표율이나 사실상 무산된 범진보 후보 단일화를 비롯해 부동층 표심의 향방 등도 선거 막판 주목할 변수로 자리잡았다.
◇신종코로나 ‘야권 심판 VS 정권 심판’
정부의 코로나 대응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나오느냐 여부가 이번 총선의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집권여당은 정부의 발 빠른 대처로 코로나 확산을 최대한 막았다고 평가하는 반면 제1야당은 초기 대응 실패를 중점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 평가도 야권 또는 정권 심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은 재난기본소득 등 위축된 소비를 살리는데 방점을 찍은 반면 통합당의 경우 경제 위기를 극복할 정당임을 부각하고 있다.
◇높은 투표율, 유불리 셈법 복잡
당초 코로나 감염 우려로 역대 최악의 투표율을 기록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지난 10~11일 실시된 사전투표율은 전국적으로 역대 최고치(26.29%)를 찍었다. 울산에선 25.97%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하며 유권자 네 명 중 한 명은 이미 결단했다. 현재 추세라면 최종 투표율이 60%대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울산 총선에선 62.0%를 기록했던 제17대(2004년) 이후 한 번도 60% 이상이 나온 적이 없다.
일반적으로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진영에, 낮으면 보수진영에 유리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코로나 총선’이라는 특수성으로 유불리를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는게 정치권의 전망이다.
◇범진보 후보단일화 무산
진보정치 1번지로 불리는 북구와 노동자의 도시 동구는 집권여당과 보수 제1야당, 진보 야당 후보간 선두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민주진보 후보들은 각자도생 분위기다.
북구는 민중당·정의당간 후보단일화를 성사시킨 반면 동구는 민중당·노동당간 단일화가 사실상 물건너갔다.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집권여당을 포함한 범진보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지만 북구에선 언급 자체가 없었고, 동구에선 논의가 무산됐다. 직전 총선에서 동·북구의 범진보 후보가 60% 안팎의 득표율로 당선됐지만, 이번 총선에선 범진보 유권자들의 표심이 나눠질 전망이다.
◇무주공산 중·울주, 아파트 민심은
중구와 울주군은 현역 중진 국회의원의 용퇴 속에 치러지는 선거구다. 울산 정치1번지로 불리는 중구와 도농복합도시인 울주군 모두 보수색채가 짙은 지역으로 꼽히지만 젊은 층 거주비율이 높은 대단지 아파트가 속속 들어섰다는 점에서 예측 불허다. 특히 울주군에선 아파트가 밀집한 구영·천상 등 범서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이 당락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대체적 여론이다.
이밖에 울산지역 일부 선거구에선 정책선거보단 흑색선전, 이전투구 양상으로 진행된 선거운동이 결과적으로 유불리로 작용할지, 또한 부동층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등도 주목된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