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비례대표 선거에는 ‘무효표’ 많았다
상태바
울산 비례대표 선거에는 ‘무효표’ 많았다
  • 이왕수 기자
  • 승인 2020.04.20 2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례투표 무효표 2만5458표
20대 총선보다 8705표 늘어
총선 무효표는 직전과 비슷
여야 거대양당 위성정당으로
혼선 야기했을 가능성 높고
유권자들 정치 불신 이유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투표장을 찾은 울산 유권자들이 지역구 후보에게는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면서도 정작 비례대표선거에선 찍을 정당이 없거나 찾는 당이 안보인다는 등의 이유로 무효표를 행사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집권여당이나 지역에서 지지세가 강한 보수 제1야당에 대한 실망감과 함께 위성정당 등장에 따른 혼란이 더해졌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울산지역 6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에서 무효표가 총 7955표 나왔다. 투표장을 찾고도 기표 오류 등으로 유효득표로 인정되지 않은 표다.

 

투표를 한 유권자가 12만9930명으로 가장 많았던 중구의 무효표가 1599표로 가장 많았고, 울주군(투표인 12만7265표) 1544표, 북구(11만8334명) 1356표, 남구을(8만4890명) 1216표, 남구갑(10만4653명) 1202표, 동구(8만9256명) 1038표 등의 순이었다.

21대 총선 무효표는 직전 총선 무효표(6개 선거구 7218표)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하지만 제21대 총선 비례투표 무효표는 20대 총선(1만6753표)에 비해 8705표 늘어난 2만5458표로 집계됐다.

남구갑·을이 7191표로 가장 많았고, 울주 5501표, 중구 5089표, 북구 4176표, 동구 3501표 등의 순이었다.

울산 비례투표 무효표는 지역구 선거에서 발생한 무효표의 3배 이상을 차지했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이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을 통해 비례 후보를 내면서 유권자들에게 혼란을 줬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비례 투표용지 제일 첫칸에는 집권여당이 아닌 기호3번 민생당이, 두번째 칸에는 기호4번 미래한국당이, 세번째 칸에는 기호5번 더불어시민당이 각각 자리잡으며 지지정당을 찾지 못한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유권자들의 정치 불신에 따른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울산은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꼽히지만 통합당의 선거 막판 막말 파동 등으로 유권자들이 등을 돌리며 무효표로 답했을 수 있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중·동·북·울주 기초단체장 선거에선 무효표가 1000~2000표대에 불과했지만 민주당 구청장 후보가 선거공보에 허위학력을 게재한 혐의로 울산지검에 고발됐던 남구청장 선거에선 6000표 이상의 무효표가 나온 바 있다.

대통령 탄핵 직후 치러진 당시 지방선거에서 보수정당 후보에게 등을 돌린 유권자들이 고발 당한 여당 후보에게도 표를 주지 않고 무효를 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국민 10명 중 9명은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보완 또는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다양한 정당의 국회 진출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전체 47석 중 36석을 차지하며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했다.

한편, 경실련은 최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의 비례대표 선거는 무효다’라고 주장하며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경실련은 더불어시민당, 미래한국당 등 ‘비례용 위성정당’이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한 것은 유권자들의 선택과 결정에 혼선을 야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제21대 총선 울산 무효표 현황
구분 지역구 비례
중구 1599표 5089표
남갑 1202표 7191표
남을 1216표
동구 1038표 3501표
북구 1356표 4176표
울주 1544표 5501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