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A는 북신항 액체부두를 해상환적과 질소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공용부두로 한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울산지방해양수산청과의 협의를 통해, 해당 부두를 해상환적 전용부두로 추가 지정하기 위한 행정 절차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 부두는 애초 ‘2030년 수소 터미널 구축’이라는 중장기 전략의 핵심 기반시설로 조성된 곳이다. 지금까지는 관공선과 실습선 등이 임시로 머물고 있었지만, 본래 계획과 다른 한시적 활용이 반복되면서 결국 용도 전환을 위한 임시 처방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북신항 액체부두는 5만t급 1선석(안벽 300m)과 하역 전용 공간 1만2600㎡가 이미 준공돼 있다. 안벽과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에이프런) 1만2600㎡가 준공됐고 배후부지는 현재 매립 공사 중이다.
다만 이 부두의 장기 운영 전략이나 화물 종류, 배후 물류 기능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울산항에는 해상환적이 가능한 부두가 11개 지정돼 있지만, 이 중 8개가 민간기업 전용 또는 민유부두다. 실제 공공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두는 손에 꼽히는 실정이다. 여기에 해상환적과 함께 필요한 질소퍼지·블랭킷 공정도 대부분 육상 인프라에 의존해야 해 작업 효율과 비용 부담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해상환적 물동량 증가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라는 것이 UPA의 설명이다.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통과화물 규제 강화와 파나마 운하 통항 제한 완화로 울산항의 해상환적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일시적 수요 확대를 이유로 핵심 전략시설의 용도 전환까지 밀어붙이는 것은 조삼모사식 대응’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또 임시방편으로 부두 목적을 전환하기로 했다면, 당장 부두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속한 행정 처리를 마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공용 부두 확대 필요성은 동의하지만, 항만공사의 대형 수요자 중심 행보는 과거에도 반복돼온 일”이라며 “이번 전환도 결국 특정 업종이나 대형 사업자 편의를 위한 조치로 귀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수소터미널을 공언해온 부두가 불과 몇 년 만에 방향을 틀고, 명확한 장기 비전 없이 ‘한시적 전환’으로 재정비되는 상황은 울산항 개발 전략의 일관성과 신뢰성 문제도 제기된다.
UPA는 “향후 공용 액체화학 부두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울산항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