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공고 컨소시엄이 교육부의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에서 또다시 탈락하며, 지역 산업계와 울산공고 동문사회에 충격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울산시교육청은 울산시와 5개 구·군, 130여개 지역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대규모 컨소시엄을 구성해 도전했지만, 결과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탈락이라는 초라한 성적표였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울산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광주, 세종과 함께 협약형 특성화고가 단 한 곳도 없는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울산공고 학교운영위원회와 동문사회는 특성화고 탈락 결과에 대해 울산시교육청의 전략 부재와 실행력 부족을 지적하며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산업수도를 자처하는 도시의 정체성과 기술 인재 수요를 고려하지 못한 교육행정의 무능이 이번 사태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관련 전략이 부재하고, 역할 분담은 모호하고, 기관 간 협력은 형식적이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등 울산 주력 산업과 연계된 교육과정으로 동문 기업인들이 발 벗고 나섰지만, 교육청의 전략 부재와 실행력 부족은 이 모든 노력을 무력화시켰다. 이는 단순한 행정 실패를 넘어, 울산시와 지역 전체가 안이하게 대응한 총체적 실책이라는 점에서 그 책임은 절대 가볍지 않다.
이에 울산공고 동문회는 애초 기자회견을 예고했으나, 대신 학교운영위원회 차원에서 천창수 울산시교육감에게 공식 서한문을 전달했다. 서한에는 이번 공모 탈락의 구체적인 사유, 시교육청의 대응, 향후 재도전 계획 등에 대한 설명과 책임 있는 답변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단순한 학교 지정이 아니라, 지역산업 맞춤 인재를 길러내 졸업과 동시에 지역 기업에 취업·정착까지 유도하는 ‘교육-고용-정주’ 모델을 실현하는 국가 전략 사업이다.
지정되면 5년간 최대 45억원의 국비 지원과 함께, 맞춤형 교과과정 운영, 기업 연계 실습, 청년 정주 기반 조성 등이 함께 추진돼 인구 감소 시대 지역에 활력을 줄발판이 된다.
다음 도전에서는 전면적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 실무 중심의 협업 모델, 정밀한 산업 수요 기반 교과 설계, 청년 정주를 위한 주거·복지 대책, 이 세 축이 동시에 작동하지 않는다면 울산은 또 기회를 놓칠 것이다. 단순히 학교를 유치하려는 접근이 아니라, 도시의 생존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판을 다시 짜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