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민주당 김태선(울산 동구) 의원은 박찬대 후보를 지근거리에서 측면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은 정·박 두 후보와의 미묘한 정치적 관계에서 중립을 유지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개혁 이미지를 굳히려는 정 후보와 개혁 의지에선 우열을 가릴 수 없다며 인식 전환을 노리는 박 후보가 경쟁적으로 ‘내란 척결’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정 후보는 이날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법관평가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법원의 지난 3월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대법원의 이재명 대통령 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등을 사법부의 부당한 판결 사례로 지목하며 개혁을 벼르고 있다.
정 후보는 “외부 전문가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사법부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 구속 취소를 결정했던) 지귀연 판사 등 내란 동조 세력이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신속히 사법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는 전날 TV 토론 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는 이른바 ‘명심’(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박 후보에게 향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일축하며 “이번 전당대회는 오직 당원, 오직 당심, 당원들이 결국 승부를 가릴 걸로 생각한다”고 했다.
권리당원 표심에서 우위에 있다고 자평하는 정 후보가 강력한 개혁 추진력을 강점으로 내세워 ‘굳히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박 후보도 특검 수사를 고리로 강경한 메시지를 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를 압수수색 한 데 대해 “늦었지만 다행이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오면 즉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TV 토론 후 페이스북에서는 “박찬대를 ‘협치 당 대표’로 규정해 ‘개혁 당 대표’와 대립시키는 것은 프레임이다. 내란 종결과 개혁의 의지는 박찬대, 정청래가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 측에서 박 후보의 개혁 추진 동력을 평가절하하는 것을 경계하면서 당원 표심을 겨냥한 ‘강성’ 메시지를 내놓는 데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박 후보는 이날 경기·강원·호남·제주·인천 등 지역별 공약도 발표했다.
민주당 전통의 텃밭인 호남은 물론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당심도 당 대표 선거의 승패를 가를 변수인 만큼 지역의 표밭갈이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두 후보는 29일 전당대회 전 마지막 TV 토론에서 맞붙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