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원자로 미래 협업방안 머리 맞댄다
상태바
지속가능 원자로 미래 협업방안 머리 맞댄다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5.09.23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NIST와 한국원자력학회(KNS)가 주최하는 ‘제23회 원자로시스템 수화학 국제학회(NPC 2025)’가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진행된다.

이번 대회를 통해 25개국에서 250여명의 세계 연구자와 산업계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인다. 원자로 수화학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발전 흐름을 공유하고, 안전성 확보와 지속가능한 원자력 미래를 위한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학회는 연구 발표와 산학협력 세션으로 구성됐다. △원자로 수화학 및 재료 최신 연구 동향 △인공지능 등 혁신 기술 적용 사례 △규제와 안전 기준 강화 방안 △산업 현장에서의 도전 과제가 집중 논의된다.

포스터 경연과 산·학·연·규제기관 교류 프로그램도 마련돼 차세대 인재 육성과 국제 네트워크 확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학회 기간 중 ‘제14회 방사선분해·전기화학·재료 성능 국제 워크숍’도 함께 열린다. 방사선 화학, 전기화학, 조사유기부식 등 원자력 사이클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주제를 다룬다.

특히 가동 중 원자로 시스템, 사용후핵연료 관리,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같은 최신 기술 동향을 집중 조명해 학문적·산업적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기조연설은 원자력 정책과 안전을 주제로 이어진다. 조석진 한국수력원자력 부사장은 ‘새로운 전기의 시대와 원자력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한다. 최기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기반기술연구소장은 최신 안전 연구와 국제 협력의 흐름을 소개한다.

김지현 UNIST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이번 학회는 전 세계 원자력 화학 및 재료 분야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는 밑거름을 제공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또한 원자력 안전과 혁신기술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수소도시 울산, 2028년까지 295억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