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양산시에 따르면 양산 13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가운데 안전요원이 배치된 곳은 단 2곳에 불과하다. 하지만 민원인 위법행위 건수는 지난해 17건으로 경남 지자체 가운데 많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복지센터는 민원 대응의 최일선 창구인만큼, 안전 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경남 18개 시·군 가운데 김해가 19곳 중 8곳(42%)에 안전요원이 가장 많이 배치돼 있고, 사천이 14곳 중 3곳(21%)으로 두 번째 순이다.
양산시의 경우 행정복지센터 13곳 중 2곳으로 16%에 그쳤다. 다음으로 고성 14곳 중 2곳(14%), 남해 10곳 중 1곳(10%), 창원 55곳 중 3곳(5%) 순이다. 나머지 지자체의 안전요원은 ‘0’명이다.
문제는 양산시의 민원인 위법행위 건수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양산시의 민원인 위법행위 건수는 총 17건이다.
창녕 6건, 창원 5건, 통영·거제·합천 3건, 진주 2건, 밀양·의령·함양 1건, 나머지 0건인 것에 비해 민원인 위법행위가 대단히 많은 편이다.
악성민원 대응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도 양산시는 현저히 적다는 지적이다.
양산은 종합민원과에 단 1명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반면, 진주·고성은 8명, 통영·김해·거창 6명, 창원·의령 4명, 사천·거제·함안·남해 3명 등 대부분 지자체가 2명 이상의 공무원을 배치해 악성민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물금읍 행정복지센터에 안전요원을 배치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서창동에 배치를 완료한 데 이어 동면에도 곧 배치하는 등 안전한 민원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안전요원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