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울산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20년 12.62%(14만3367명), 2021년 13.64%(15만2961명), 2022년 14.75%(16만3812명), 2023년 15.92%(17만5709명), 2024년 17.19%(18만8702명) 등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기준 시도별 노인복지시설 분포 및 인구 대비 비율을 보면 울산의 노인 1000명당 경로당은 4.53개, 노인교실은 0.10개에 그친다. 경로당과 노인교실 비율은 전국 평균인 6.75개, 0.12개를 밑돈다.
매년 노인 인구는 증가하는데 반해 노인복지시설은 부족하면서 노인복지시설 이용 경쟁이 치열해지고 종사자들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회복지사 A씨는 “정시에 퇴근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업무 강도가 높은데 비해 급여는 턱없이 낮다. 식비 지원이 없으며 추가 수당도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지급받지 못한다”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 B씨는 “시설 이용자가 계속 늘면서 개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갈수록 줄어 이로 인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 이는 종사자의 업무 강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며 “노인복지시설의 남자 사회복지사가 시설 관리직을 맡는 경우가 많은데 적은 급여와 추가 업무에 그만둘 때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들은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감당하기 위해선 금전 지원과 인력 충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는 “1호봉 금액이 물가상승률에 비해 현저히 낮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금전적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며 “현재 많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이 과도하게 업무를 떠안고 있다.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위해서라도 인력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