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성남동에서 양복점을 운영하는 A씨는 지난 18일 중구청 복지정책과 주무관을 사칭한 한 남성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이 남성은 중구에서 추진 중인 ‘청년 면접 정장 지원 사업’을 언급하며 양복 20벌을 주문하고, 와이셔츠 등 추가 서비스까지 요구했다. 아울러 사업 지원 예산이 2000만원이라는 말을 덧붙였다.
수상함을 느낀 A씨가 곧바로 구청에 확인한 결과, 해당 이름의 주무관은 존재하지 않았다. A씨로부터 사정을 확인한 중구는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관내 상인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앞서 A씨는 지난 4일에도 자신을 울산시청 예산과장이라고 소개한 한 남성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이 남성은 A씨에게 ‘노인들을 위한 사업’이라며 혈압계 50개 구매를 권유했다.
그는 “관이 구매하려면 개당 250만원인데 개인이 사면 180만원이니 협조해주면 차액을 주겠다”며 혈압계 판매업체 사장의 명함을 전달하고, 총 구매액 9000만원 중 10%인 900만원을 선납하라고 요구했다.
의심한 A씨는 이튿날 경찰에 신고했고, 현재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이처럼 공무원 사칭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지만, 실제 검거 사례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정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울산에서는 올해 7월까지 99건의 사건이 접수돼 22억원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검거된 용의자는 한명도 없었다.
전국적으로도 2800건이 넘는 사기 사건이 발생해 피해액이 400억원을 넘어섰지만 검거율은 0.7%에 불과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공무원이나 기관을 사칭해 금전이나 물품을 요구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피해가 우려되면 지체 없이 경찰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