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제도가 본래 취지와 달리 울산 청년에게 역효과를 내고 있다. 지방대학 육성과 청년 정착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울산·경남 광역화’ 시행 이후 오히려 울산 청년의 채용 비율을 낮추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는 지난 2021년 경남과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광역화 업무협약’을 체결해 울산과 경남의 이전 공공기관이 서로의 지역 대학 졸업자를 지역인재로 인정하도록 했다.
하지만 지역거점 국립대가 없는 울산은 제도 시행 초기부터 구조적으로 불리했다.
김종섭 울산시의원이 집계한 ‘울산·경남 지역인재 신규채용 현황’에 따르면, 2021년 울산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38명 중 30명이 울산대, 7명이 UNIST, 1명이 울산과학대 출신이었다. 2022년부터 울산·경남 광역화가 본격 시행되자 상황은 급변했다. 2022년 울산 이전기관의 지역인재 29명 가운데 울산 출신은 18명(62%)으로 줄고, 경남 출신은 11명(38%)으로 늘었다. 같은 해 경남 이전기관 135명 중 울산 출신은 5명(4%)에 불과했다.
이듬해 2023년에는 울산 이전기관에서 울산 인재 17명, 경남 인재 27명이 채용돼 울산 비중이 40%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경남의 지역인재 신규 채용자 91명 중 울산 출신은 7명(7.7%)에 그쳐 광역화의 실질적 수혜가 경남으로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울산혁신도시에는 10개 공공기관이 입주해 있으며, 관내 대학은 5곳에 연간 졸업생이 약 6000명 수준이다. 반면 경남은 14개 기관과 23개 대학, 졸업생 약 2만명으로 공급 기반에서 이미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채용 경쟁에서 울산이 불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올해 울산 7개 공공기관은 전체 채용인원 123명 중 49명을 지역인재로 선발했고, 이 가운데 울산 출신은 33명(67.3%), 경남 출신은 16명(32.7%)이었다. 수적으로는 광역화 이전(2021년 38명)과 비슷한 수준을 회복했지만, 경남 공공기관에서 울산 출신 비율은 여전히 13%(112명 중 15명)에 불과해 ‘반짝 회복’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대학교를 기준으로 인정하는 지역인재 범위를 고교 출신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울산 청년 상당수가 대학 진학과 일자리를 찾아 부산·경남 등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현실에서, 대학 졸업지만 기준으로 삼으면 울산 청년이 역차별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에서다.
김종섭 시의원은 “지역인재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려면 울산 학생이 울산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제도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