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환승체계 도입 지연에 울산시민만 요금 부담”
상태바
“광역환승체계 도입 지연에 울산시민만 요금 부담”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5.1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백현조(사진) 위원장
울산~부산 동해선 복선전철 개통 이후 사실상 울산·부산이 동일 생활권인데도 울산 시민만 환승요금을 부담하고 있어 생활 교통 불평등 해소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울산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백현조(사진) 위원장은 13일 열린 교통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양산·김해 등 인근 도시들이 이미 시행 중인 광역환승 무료화 정책에 ㅈㄷ울산이 뒤처지고 있다”며 울산시의 조속한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백 위원장은 “부산시는 지난 9월부터 버스·도시철도·경전철 간 환승 시 추가 요금을 면제해 통근·통학 시민의 월평균 교통비를 2만원 이상 절감시켰다”며 “생활권이 맞닿은 울산 시민만 여전히 환승요금을 전액 부담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울산과 부산은 이미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돼 있지만, 울산 시민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현실”이라며 “광역환승체계 미도입으로 인한 시민의 불편과 교통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울산은 동해선 복선전철 개통 이후 인근 도시와 통근·통학 인구가 급증하며 이미 광역생활권으로 재편되고 있다. 하지만, 울산의 교통정책은 여전히 정주 인구 중심에 머물러 있다.

백 위원장은 “울산시가 ‘트램 1호선 개통 이후 환승체계를 검토하겠다’는 입장만을 고수한다면 시민의 불편이 2년 이상 더 지속될 수 있다”며 “트램 개통 이후가 아니라 조기 시행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이나 부산·경남권과의 광역교통 협약 등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광역환승 무료화는 단순한 교통비 절감정책이 아니라 울산의 생활권 확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한 핵심 기반”이라며 “교통 접근성과 이동 편의성이 곧 도시의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시대에, 울산시가 더 이상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말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형 교통정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필름부터 AI이미지까지 사진 매체의 흐름 조명
  • 강동 주민·상권 ‘불꽃축제’ 기대 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