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중구에서 추진 예정이던 100억원 규모의 원도심 상권활성화 공모사업이 행정 준비 부족으로 결국 철회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태욱 중구의원은 지난 21일 열린 제278회 중구의회 정례회 행정자치위원회 경제문화국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유사 사례 재발을 막기 위한 체계적 대비를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중구는 2026년 시행 예정인 ‘울산중앙상권활성화사업’을 위해 총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9500만원 규모의 연구용역을 진행하며 공모를 준비했다.
사업 대상은 중앙전통시장, 옥골시장, 보세거리, 젊음의거리, 문화의거리, 성남프라자, 웰컴시티 등 원도심 7개 전통시장과 상점가로, 총 1189개 점포를 대상으로 크리에이터·스마트 상권 조성, 음식문화·커뮤니티 상권 활성화, 전략적 상권 관리 체계 구축 등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울산시 심의 과정에서 중복·유사성과 사업성 부족 등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전체 사업비 100억원 중 절반 이상인 51억1000만원이 감액됐다.
중구는 감액된 48억9000만원으로는 21만㎡가 넘는 사업 대상 구역에서 충분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공모를 철회했다.
김 의원은 “이번 사례는 공모사업 추진 시 예산 대비 효과, 국·시비 확보 가능성, 타 사업과의 중복 여부 등 타당성 검토를 충분히 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며 “행정력·예산 낭비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내년 공모 재신청 시 단순 반복이 아니라 참신하고 근거 중심의 기획으로 행정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통시장과 관계자는 “내년 재도전 시 올해 심의 평가 의견을 면밀히 분석하고, 원도심 상권 브랜드화 사업과 재개발 등 외부 환경 변화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이번 철회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내년 공모사업 추진 시에는 사업 타당성과 실효성을 충분히 검토하고 전 부서 협력 아래 준비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같은 날 열린 중구의회 복지건설위원회 복지교육국 소관 교육체육과 행정사무감사에서는 2년 넘게 방치된 다전물놀이장 철거와 LH의 이전 계획 구체화 문제도 지적됐다.
문기호 의원은 주민 불편과 안전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철거 시점과 대체시설 추진 계획을 명확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교육체육과 관계자는 “LH와 지속 협의해 철거와 대체시설 추진을 조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