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 AI 의존 심화…대책마련 비상
상태바
교육현장 AI 의존 심화…대책마련 비상
  • 이다예 기자
  • 승인 2025.11.25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최근 대학가에서 AI(인공지능)를 시험 등에 악용하는 이른바 ‘AI 커닝’ 사례가 속출하면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일선 초·중·고에서도 학생들의 AI 활용 방식에 비상이 걸리고 있다. 교육당국은 AI 활용 기준 정비 작업에 분주하다.

24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교육청은 AIDT(AI디지털교과서)가 보급되기 전부터 혁신미래교육 등 일환으로 디지털교육 활성화에 적극 나서왔다.

특히 지난해부터 교육 현장에 AI가 전방위로 도입되면서 AI·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교육 환경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AI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 교육기반 조성을 위해 책정한 내년 예산만 59억에 달한다.

문제는 지역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AI에 의존하는 현상이 심화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AI는 학습 이해도를 높이고 개인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부정행위나 학습태도 저하 등 부작용도 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AI가 교육 현장에서 올바른 학습 도구로 기능하도록 공교육 차원의 활용 기준과 한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일부 현장에서는 AI 활용 수업에 적용할 구체적 지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일단 울산시교육청은 울산형 AI 디지털교육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전담 TF를 가동하고 있다. 교육과정 내 AI 디지털교육 접목 방향 등을 제시해 내년 2월까지 학교 현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 자체 스마트기기 활용 가이드라인을 보급한 데 이어, 올해 두 차례 교육주체 토론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가이드라인을 보완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다음 달 중 추가로 배포할 계획이다.

다만 최근 사회적 문제로 지목된 AI커닝 등 평가 영역과 학생 활용 규정과 관련된 구체적 기준은 아직 없는 상태다.

타 시·도 역시 이와 관련된 표준안 마련 과정에서 속도차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실제로 수업 중 스마트 기기 활용의 구체적 지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고, 내년에는 더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세울 계획”이라며 “평가와 관련된 부분은 여러 부서와의 협업이 필요한 사안이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김지현 간호사(울산대학교병원), 호스피스 전문자격 취득
  • 컨테이너 이동통로 비계 붕괴, 작업자 2명 2m 아래 추락 부상
  • 울산 전통시장서 즐기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 [오늘의 운세]2025년 11월17일 (음력 9월28일·경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