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램·고속열차 거점 목표로
市, 기본·실시설계용역 진행
주차장 165면으로 확대 계획
부지 무상임대 전제로 추진
철도당국 30억에 매입 요구
재정악화 市 일정 잠정 중단
市, 기본·실시설계용역 진행
주차장 165면으로 확대 계획
부지 무상임대 전제로 추진
철도당국 30억에 매입 요구
재정악화 市 일정 잠정 중단

울산시는 지난 14일 완료를 목표로 2019년 5월에 착수한 ‘태화강역 광장 개선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잠정 중단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태화강역 광장을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시대를 맞아 울산의 교통의 중심으로 재도약 시키는 게 목적이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태화강역 광장은 열린광장, 어울림광장, 휴게·편의 광장으로 조성된다. 태화강역 광장은 울산시가 추진하는 도시철도(트램)와 고속열차의 중요한 거점 역할도 한다. 울산시는 사업비로 총 80억원을 책정했다. 시는 용역이 완료되는 즉시 착공해, 2021년 6월 준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사업은 태화강역 주차장 조성 부지 확보에 발목이 잡혔다. 역사의 이용객 전용 주차장은 지자체가 조성하도록 돼 있다. 시는 광장 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주차장 165면을 확대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주차장 부지의 일부는 철도당국 소유다. 총 2필지로 철도공사가 447㎡, 한국철도시설공단이 1338㎡을 갖고 있다. 시는 공공재라는 점을 강조하며 무상으로 임대해 사용할 수 있도록 철도당국에 요청했다. 그러나 철도당국은 무상 사용은 불가능하며, 30억원에 매입하라고 통보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시민의 유일한 공공교통수단인 시내버스 회차지와도 연계된 사안으로 주차장 부지가 해결되지 않으면 사업이 많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며 “공공재라는 점을 적극 부각하는 등 철도당국과 협의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철도당국와 송정역 광역전철 연장운행을 놓고도 갈등을 빚고 있다. 광역전철은 부산 부전역~태화강역을 잇는다. 시는 종착역을 송정역으로 연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철도당국은 열차(전동차 2대) 구입비 104억원, 연간운영비 17억 5000만원, 고상홈(전철용 승강장) 건설비용 108억원까지 모두 울산시가 부담해 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시는 국책사업으로 국비로 충당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철도당국을 압박하고 있다. 최창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