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시에 따르면, 올해 월별 확진자는 1~3월 각각 222명, 77명, 144명으로 일평균 10명 내의 확진자를 보였다. 4~5월은 부산 장례식장을 시작으로 알파 변이가 유행해 4월 772명(일일 25.7명), 5월 649명(20.9명)이 발생했다.
6월에는 246명(일일 8.2명)으로 알파변이 유행이 종료되며 확진자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지만 전국적인 델타변이 바이러스 전파가 시작되며 7월 400명(일일 12.9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8~9월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본격 유행하며 8월 1020명(일일 32.9명), 9월 943명(31.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그러나 23일 기준 10월 확진자는 193명으로 일일 평균 8.4명, 주간발생률(10만 명당 주간 평균)은 0.3명으로 전국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시는 10월 확진자 급증의 원인으로 △진단검사 확대 △역학조사 등 대응 강화 △예방접종 완료 비율 증가 △시민들의 방역조치 자발적 동참을 꼽았다.
시는 지난 4월19일부터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을 시작해 현재 8곳으로 확대했다. 전국 비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55곳 중 14.5%를 차지하고 있다.
시는 신종코로나 확산 이후 감염병관리과를 신설하고 정원 외 인력을 2배 이상 확보해 대응하고 있다. 또 추적조사팀을 확대해 22개반 210명의 역학조사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20~30대의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일상생활 중 이동을 줄여준 것이 현재의 낮은 발생률을 견인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