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선과도 같은 위기로 치닫고 있는 국민의힘 선거대책위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체제의 ‘직할부대형’의 재정비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김 위원장의 이러한 전략은 선대위 쇄신 방향을 ‘인적 개편’ 대신 ‘효율적 협업’으로 잡은 만큼 자신의 그립을 강화함으로써 불협화음을 최소화하겠다는 포석으로 분석된다.
특히 상임선대위원장을 내던진 이준석 대표가 연일 윤석열 대선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에 십자포화를 퍼붓고 있는 가운데 김 위원장 체제의 강공 드라이브에 또 다른 변수가 나타나게 될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23일 선대위 회의에서 “종합상황실 중심으로 전체 의견을 제대로 수렴해 후보와 직접 협의해 모든 것이 결정되도록 하라”고 했다.
공개석상에서 임태희 본부장이 이끄는 총괄상황본부 중심으로 선대위를 운영하라고 내부 지침을 내린 것이다. 총괄상황본부는 종합상황실(이철규 실장), 전략기획실(금태섭 실장), 정무대응실(정태근 실장), 정세분석실(김근식 실장) 등 ‘4실 체제’로, 김 위원장의 별동대 성격이 강하다.
선대위 효율화를 위해 새롭게 시행된 일일점검회의는 임태희 본부장과 윤 후보의 핵심 측근인 권성동 사무총장(종합총괄지원본부장)이 공동주재한다. 이를 두고 총괄상황본부의 주도권을 강화하면서도 윤 후보 측 주요 인사들을 배제하지 않는 쪽으로 김 위원장과 윤 후보가 절충점을 찾은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나아가 이준석 대표가 ‘선대위 6본부 체제’ 해체를 공개 촉구한 데 대해선 “지금 시점에서 총괄본부장들의 사표를 받아 새롭게 선대위를 구성하는 그 자체가 별로 실효를 거둘 조치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경선 과정에서 후보와 가까웠다는 사람들이 오버하는 측면에서 불협화음이 생기고 있는데 앞으로는 시정이 될 것”이라며 “자기네들이 잘못된 이야기를 해서 윤 후보 당선에 도움이 될지 깊이 생각한다면 선거 끝날 때까지 아무 불협화음을 안 일으키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윤석열 대선 후보는 23일 주택 공시가격을 지난해 수준으로 환원하고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통합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윤 후보는 이날 전남 여수광양항만공사 방문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부동산 세제를 정상화해 국민 부담을 확 줄여드리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5년간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우리 국민이 얼마나 고통을 받았나”라며 “26번의 정책이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고 비판했다.
우선 2022년 주택 공시가격을 2020년 수준으로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공시가격을 환원하지 않으면 정권교체 뒤 관련법 시행령을 개정해 공시가를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을 추진하고, 그 이전에라도 세 부담 완화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공정시장가액비율 95%로 동결, 세 부담 증가율 상한 인하, 1주택자 세율을 현 정부 이전 수준으로 인하, 일정 소득 이하 1주택 장기보유자는 종부세 이연 납부 허용, 차등과세 기준을 보유주택 호수→가액으로 전환 등을 공약했다.
윤 후보는 재산세·종부세 통합 추진 배경에 대해 현행 세제가 “과중하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