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 교육감은 4일 울산시교육청 1층 책마루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학생 개개인마다 다 다르다. 다른 부분을 교육적으로 발현시켜 학생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는 게 필요하다”며 “이에 2기 울산교육에서는 ‘맞춤형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학생 스스로 살아가야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며 “공동체 구성원으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게 공교육의 역할 아니겠나”고 덧붙였다.
최근 일선 학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사건과 관련해서는 “시스템이 돌아가야 하는데 안되고 있다”며 “학교에서는 성적 중심으로 생각하다보니 기본을 놓친 부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노 교육감은 “방청소를 하는 것, 웃어른을 대하는 법 등 기본을 튼튼하게 하는 교육이 중요하다”며 “공부를 잘하는 것만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교문화는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권 교체로 교육청과의 관계와 협조 등과 관련해서는 그는 “시장, 기초단체장들이 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노 교육감은 “교육 자체에 관심이 없으면 이념을 떠나서 소통이 어렵다”며 “시장, 기초단체장 취임사를 살펴보니 교육에 더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하는 마음을 갖게 됐다. 만나서 자주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사립유치원 무상교육과 관련해서는 “사립유치원연합회와 구군 단체장과 같이 논의를 해야 한다”며 “기초단체에서 ‘교육청에서 생색만 내고 우리는 돈만 내라는 것’으로 생각할까봐 조심스럽다. 단체장들과 만나 논의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울산시의회 예산 심의 통과와 관련해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이 1당이나 마찬가지일 정도로 다수당이 됐기 때문에 책임감도 많이 느끼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시민들이 원하는 사업에 대해 발목 잡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의회에서도 여론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청량읍지역 고등학교 설립 요구와 관련해서는 “청량읍 지역에 고등학교가 있어야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는 타당하다고 본다”면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고교)복합학교 설립은 부정적이며, 쉽지는 않겠지만 방안을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에서 특목고를 부활시키려는 것에 대해서는 “정권이 바뀐다 해서 완전히 되돌린다는 것은 교육의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처사다”라고 한 뒤 “외고는 굳이 특목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 의문이며, 다만 자사고는 함부로 취소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