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16일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분석을 통해 주요 5개국(G5)과 한국의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를 제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 확산 직전이던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p 상승했다. 같은 기간 G5 국가들의 엥겔지수 평균 상승폭은 0.9%p 였다. 2019년 대비 2021년 주요국별 엥겔지수 상승폭은 △한국 1.2%p △영국 1.2%p △일본 0.9%p △프랑스 0.8%p △미국 0.4%p 의 순이었다.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이유로 국내 식품 물가 급등을 꼽았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2020~2021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5.2%를 기록, G5 평균(1.7%)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한경연은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 물가가 불안정해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가계소비의 둔화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다고 분석했다. 가계 소비성향 약화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을 늘린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식품 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을 증가시키는 등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경연은 주장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