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원전 오염수 방류 시작, “日 투명·책임감 있는 정보 공개를”
상태바
日 원전 오염수 방류 시작, “日 투명·책임감 있는 정보 공개를”
  • 이춘봉
  • 승인 2023.08.25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과 관련해 24일 김두겸 울산시장과 김기환 울산시의회 의장 등이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수산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 방사능 검사와 일본산 수산물 원산지 표시점검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김동수기자
일본이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개시했다. 정부와 울산시는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정보 공개를 촉구하면서, 수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회사인 도쿄전력은 지난 22일 일본 정부의 방류 결정에 따라 이날 사전 작업을 거쳐 수조에 보관하던 오염수를 오후 1시께부터 방출했다.

이번 방류는 2021년 4월 스가 요시히데 당시 총리가 오염수 처분 방식으로 해양 방류를 결정한 지 2년4개월 만이다. 2011년 3월11일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약 12년 반 만이다.

도쿄전력은 하루에 약 460t의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방류하는 작업을 17일간 진행, 일차적으로 오염수 7800t을 바다로 내보낼 계획이다. 다만 도쿄전력은 이날은 오후에 방류가 개시된 만큼 하루 방류량이 200~210t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 3월까지 방류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염수 양은 3만1200t으로, 이는 현재 보관 중인 오염수의 2.3% 수준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이미 약 134만t의 오염수가 1000여개의 대형 탱크에 들어 있으며, 현재도 원전 부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빗물 등으로 인해 오염수는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수 방류가 대체로 30년가량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향후 방류 기간을 확언하기는 어렵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오염수 방류 직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이제 중요한 것은 일본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로 철저하게 과학적 기준을 지키고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앞으로 30여년간 계속될 방류 과정에서도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정보를 공개하기를 기대하고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한국과 IAEA 양측의 정보 공유 담당 전담관이 지정돼 오늘 중으로 소통을 개시하고 앞으로도 매일 최신 정보를 제공받고, 정기 화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오염수 방류로 국내 수산업 소비 위축이 우려되는 데 대해선 “추가 예비비를 충분히 반영해 지원하겠다”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하고 가격 안정화를 위한 수산물 비축·수매도 역대 최대 규모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산물 긴급경영안정자금을 5배 확대하고 대출 한도를 한시적으로 상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한 총리의 담화문 발표 후 기자회견을 열고 “더 이상 시민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는 말에 현혹되지 않고,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밝혔다. ▶2면에 계속

김두수·이춘봉기자·일부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