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9일 ‘한국어교육 기반 국제교류 활성화 사업’에 부산, 대구, 경북, 서울, 인천, 광주, 전남, 충남, 충북 등 9개 교육청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처음 추진되는 이 사업은 지난해 8월 교육부가 발표한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의 후속 조치다.
시도교육청과 해외 한국교육원이 협업해 해외에서 한국어교육을 활성화하고, 한국 유학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선정된 교육청들은 한국어 교사 출신으로 한국어 보급을 지원하는 한국어 전문관과 유학생 유치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일반직 공무원을 연계 교육원에 파견한다.
교육부는 선정된 9개 교육청에 특별교부금 104억원을 지원한다.
각 교육청은 여기에 자체 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220억원을 투입해 한국교육원과 함께 국제 교류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올해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운영 규모와 참여 교육청 수를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시교육청은 해당 사업에 지원하지 않았다.
지난해 8월께 공문을 받은 이후 면밀한 검토를 했지만, 여러 여건 상 지원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는 게 시교육청의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해당 사업 전제 조건 중 하나인 교원 1명, 지방공무원 행정직 1명을 해외에 파견하기에는 수당 전체를 시교육청이 부담해야하고, 학교 수업 결손에 따른 어려움도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국제교육원을 보유한 시도교육청이 대부분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교육부에 계속 사업인지 물어봤지만, 안될 수도 있다고 답변이 와 수차례 논의 끝에 지원을 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