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이 LNG·LPG 복합발전소의 본격 가동으로 전력자급률 110%를 돌파했다. 내년에는 새울원전 3호기와 4호기가 차례로 준공될 예정이어서 전력자급률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정부가 에너지 ‘지산지소론’을 강조하는 가운데, 울산의 전력자급률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울산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의 당위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7월 기준 울산의 전력자급률은 111.1%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3.4%에서 7.7%p 상승한 수치다. 올해 1~7월 울산의 발전량은 총 1만9458GWh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부산의 발전량(1만9369GWh)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울산은 부산보다 발전량이 적었다.
2024년 울산의 발전량은 3만3015GWh로, 부산(3만7096GWh)에 뒤쳐져 있었다. 그러나 올해는 울산GPS 가동 효과가 본격 반영되며 상황이 역전됐다.
울산GPS는 SK가스가 투자해 지난해 12월 상업운전에 들어간 1.2GW 규모의 LNG·LPG 복합발전소다. 남구에 들어선 이 발전소는 최신 친환경 복합화력 기술을 적용해 전력생산 효율을 크게 높였다. 이 시설 가동이 울산의 발전량을 끌어올리면서 전력자급률도 자연스럽게 상승했다.
울산의 전력자급률은 앞으로 더 높아질 전망이다.
내년에는 각각 1.4GW급 새울원전 3호기와 4호기가 순차적으로 준공될 예정이다. 두기를 합하면 무려 2.8GW 규모로, 울산의 발전 기반은 한층 탄탄해진다.
장기적으로는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조성도 울산의 전력자급률 제고에 힘을 보탠다.
2031년까지 6.2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가 순차적으로 추진될 계획인데 이는 원자력발전소 6기에 맞먹는 발전 용량이다.
LNG·원전·재생에너지 삼각축이 갖춰지면 울산은 에너지 자립 도시를 넘어 국가 전력 공급의 중추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전국적으로는 전력자급률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전력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7월 기준 광역지자체별 전력자급률은 최고 262.6%(경북)에서 최저 3.3%(대전)까지 79배 차이를 보였다.
자급률이 높은 지역은 경북(262.6%), 전남(208.2%), 인천(180.6%), 충남(180.5%) 등으로 대형 발전소가 밀집해 있다. 반면 대전(3.3%), 서울(7.5%), 광주(11.9%), 충북(25.6%)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은 2024년 11.6%였던 전력자급률이 올해 7.5%로 더 하락해 전력 의존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불균형 문제는 중앙집중형 구조의 한계를 드러낸다. 현재 우리나라 전력망은 영남·호남권 대형 발전소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장거리 송전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송전망 건설·유지 비용 △송전 과정 전력 손실 △송전탑 건설 갈등 △대규모 정전 위험성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분산형 전원’이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소규모 발전설비를 전력 수요지 인근에 배치해 ‘지역 생산·지역 소비’ 구조를 만드는 방식이다.
이는 송전망 부담을 줄이고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계통 안정성 강화와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라는 효과도 기대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 울산의 전력자급률이 110%를 넘어섰으며, 2030년 이후에는 원자력과 부유식 해상풍력이 본격화되면서 300%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기에 분산에너지 특구까지 지정되면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 다소비 전력 기업 유치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