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재택의료센터 ‘0’ 의료·돌봄 인프라 ‘구멍’
상태바
울산 재택의료센터 ‘0’ 의료·돌봄 인프라 ‘구멍’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5.10.10 0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둔 가운데 울산에는 재택의료센터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재택의료센터가 운영 중인 곳은 113곳(49%)에 불과했다.

울산은 5개 구·군 어디에도 재택의료센터가 없어 의료·돌봄 통합체계의 핵심 인프라가 전무한 상태다. 반면 대전은 5개 구 전체에 총 9곳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지역 간 공급 격차가 뚜렷했다.

재택의료센터는 내년 3월27일부터 시행되는 ‘통합돌봄’ 제도의 핵심 시설이다. 통합돌봄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 등이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으로,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이기도 하다. 재택의료센터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팀을 꾸려 환자의 집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진료와 간호, 상담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는 2022년 12월부터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을 시작해 현재 113개 시군구 195곳의 의료기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전체 수가 적을 뿐 아니라 지역별 편차도 크다.

울산뿐 아니라 경북의 경우 22개 시군 가운데 4곳만 재택의료센터가 설치돼 있다. 경남 창원은 장기요양보험 1·2급 인정자가 2499명으로 전국 다섯 번째로 많지만 재택의료센터는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반면 대전은 5개 자치구 전체에 9곳의 재택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서울도 25개 자치구 중 구로·동작·종로·중구를 제외한 21개 구에 센터가 지정돼 있다. 경기 용인은 3곳의 재택의료센터가 운영 중이며, 성남은 5곳, 수원은 6곳을 두고 있다.

김선민 의원은 “울산과 창원 사례는 지역 간 재택의료 서비스 공급 격차를 여실히 보여준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의료·요양·돌봄 연계의 핵심 축인 재택의료센터 확충 대책을 즉시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반구동 빌라 화재로 1명 숨져
  • 정권따라 출렁이는 물정책…회야댐 중대기로
  • 울산, K리그 부진 딛고 ‘ACLE 2연승’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