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예식장에 국한됐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태화강국가정원, 울산대공원, 대왕암공원 등 울산의 대표 명소를 야외 공공예식장으로 지정해 예비부부들에게 개성 있고 합리적인 결혼식 공간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지역 청년 지원 사업의 하나로 내년부터 ‘공공예식장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는 태화강국가정원, 울산대공원, 대왕암공원 등 지역 명소의 조용한 공간을 예식 공간으로 개방하고, 울산 거주자 및 생활권자(직장인, 재학생)를 대상으로 무료 대관과 웨딩패키지를 지원한다.
김두겸 시장은 이달 초 열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영남권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직접 소개했다. 그는 생활체감형 복지정책의 하나로 ‘울산형 공공예식장 지원사업’을 언급하며 “청년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결혼식을 올릴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울산이 결혼하기 좋은 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올해 안에 장소를 지정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해 내년도 예산을 확보한 뒤, 2026년부터 시범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1년간 총 1억원의 예산으로 약 20쌍의 예비부부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항목에는 예식장 무료 대관뿐 아니라 예식장 꾸밈, 예복, 메이크업 등 웨딩패키지 전반을 포함한다.
또 사업의 성과와 수요에 따라 2027년에는 야외 결혼식 장소를 추가 지정하거나 확대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이번 사업이 예식장 예약난과 물가 부담을 완화할 뿐 아니라 지역의 대표 명소를 무대로 한 특별한 결혼식을 통해 도시 브랜드를 높이는 효과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예비부부들은 결혼식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중소 예식장이 대거 폐업하면서 인기 있는 예식장을 잡기 위해 1년 전 예약이 일반화되는 등 경쟁이 치열해졌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3월 접수된 결혼 관련 서비스업 민원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그중 예식장업 관련 민원이 50.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민원 유형은 할인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한 뒤 해제 시 위약금을 정가로 부과하는 편법, 본식 끼워팔기, 보증 인원에서 소인 미포함 등 불공정 관행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들도 결혼식 지원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결혼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가격표시 의무를 부과하는 ‘가격표시제’ 도입을 추진 중이며, 서울시는 북서울꿈의숲, 선유도공원, 세종문화회관 등 다양한 공공장소를 무료 또는 저렴하게 예식 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울산시도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야외 공공예식장을 운영함으로써 예비부부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지역 명소의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예비부부들의 예식장 예약난과 예식물가 부담을 덜기 위해 공공 야외예식장 사업을 추진한다”며 “청년이 결혼하기 좋은 도시, 행복한 부부의 탄생을 응원하는 도시 울산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