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수립될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서 비수도권 예산이 얼마나 확대될지 관심이 쏠린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 중 ‘광역교통시설 권역별 투자계획’에 따르면 총사업비 22조7455억원 가운데 수도권에 18조3476억원이 배정됐다. 전체의 80.7%에 달하는 규모다.
반면 지방 예산은 4조3979억원으로 전체의 19.3%에 그쳤다.
권역별로는 △울산·부산권 1조6817억원(7.4%) △대전권 1조1878억원(5.5%) △대구권 1조213억원(4.5%) △광주권 5071억원(2.2%) 순이었다.
울산·부산권의 연도별 투자금액을 보면 2021년 67억원, 2022년 107억원, 2023년 151억원, 2024년 320억원, 2025년 529억원으로 집계됐다. 2025년 이후에는 1조3678억원이 추가 투입될 계획이다.
하지만 지역에서는 울산·부산권 인구가 450만명에 달함에도 전체 광역교통 예산의 7.4%만 배정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무엇보다 지역 사회는 국토부가 내년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을 수립할 때 이 같은 인구 규모와 교통 수요를 충실히 반영해 비수도권 예산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갑 의원은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5극 3특 전략’의 핵심은 권역별 성장거점을 조성하고 이를 촘촘한 광역교통망으로 연결하는 것”이라면서 “균형발전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에 편중된 예산 구조를 개선하고 비수도권 광역교통망 구축에 더 많은 국비를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은 2026년 수립될 예정으로, 울산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광역교통망 확충 예산 배분이 균형발전의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