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첫 자전거 펌프트랙 사업 ‘안갯속’
상태바
울산 첫 자전거 펌프트랙 사업 ‘안갯속’
  • 신동섭 기자
  • 승인 2025.10.16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 울주군 범서읍 천상리 태화강둔치에 위치한 기존 자전거체험장 부지. 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울산시가 추진 중인 지역 최초 ‘자전거 펌프트랙 및 산악자전거(MTB) 연습장 조성 사업’의 착수가 안갯속에 빠졌다. 낙동강유역환경청 등 관계 기관과의 하천 점용 협의가 장기화하면서 계획했던 연내 착공은 물 건너갔고, 협의 지연이 이어지면 확보한 국비 15억원의 환수까지 우려된다.

15일 울산시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던 ‘자전거 펌프트랙 및 산악자전거(MTB) 연습장 조성 사업’의 착공이 내년으로 연기됐다. 이 사업은 울주군 범서읍 천상리 태화강 둔치의 기존 자전거체험장 부지에 총 20억원(국비 15억원, 시비 5억원)을 투입해 펌프트랙(4167㎡)과 MTB 연습장(865㎡)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울산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자전거 전용 주행 시설로, 레저 문화 확산과 지역 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펌프트랙은 페달을 밟지 않고 몸의 움직임으로 경사와 곡면을 타는 자전거 전용 코스로,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레저·관광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사업의 핵심 관문인 하천 점용 허가 절차가 예상보다 까다로워지면서 사업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하천 점용 허가는 홍수시 수위 변화와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의 설치 여부를 심사하는 절차인데, 올해 들어 한층 강화됐다. 시는 지난해 발생한 제방 붕괴와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오성면 하천 오염 사고 등으로 인명 피해와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여파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하천 점용 허가 절차가 예년보다 훨씬 까다롭다”며 “이동식 화장실 같은 부대시설조차 협의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협의 지연이 장기화할 경우 정부로부터 확보한 15억원의 특별교부세가 감액되거나 최악의 경우 환수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하천 점용 허가를 받지 못해 사업 부지를 변경할 경우, 기존 사업 예정 부지인 울주군 자전거체험장의 활용 방안도 골칫거리로 전락할 수 있다.

지난 2015년 3월 운영한 울주군 자전거체험장은 이용률 저조로 수년간 개점휴업 상태가 이어지다 지난해를 끝으로 운영이 중단(본보 2024년 12월26일자 6면)됐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는 사업비를 명시 이월하고, 관련 기관과 협의를 마무리해 내년 안에 착공할 계획이다”며 “하천 점용 허가를 받지 못할 경우 사업 예정지를 변경해서라도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