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실에 따르면, 현직 라이즈 센터장 17명 중 대학·교육 분야 경력이 없는 센터장은 10명으로 조사됐다.
해당 센터장은 울산과 서울, 강원, 경기, 광주, 대구(2명), 인천, 전남, 충북, 경남이다. 이들의 주요 경력은 국회보좌관이나 지자체 공무원, 정책연구원 등이다.
울산 센터장은 울산테크노파크 재직자로서 지역사회·산학협력 경력은 풍부하지만, 연구나 교육 경력은 없는 인사로 지목됐다.
연봉도 상위기관 기준 등 적용 방식이 달라 6000만원에서 1억원대까지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이었다. 울산 센터장은 지난달 기준 1억1000만원을 받고 있으며 17개 시도 중 최고 수준이었다.
임기도 지역별로 차이가 컸다. 강원 센터장은 지방공무원 신분으로 별도의 임기를 두지 않았고, 경남은 파견 공무원으로 1년 임기였다.
지역 교육계에서는 라이즈 센터장이 지자체 주도 대학지원 사업의 핵심 역할인데 사업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가 기초적인 준비도 없이 라이즈 사업을 밀어붙인 결과라는 것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정부가 라이즈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본적인 규정조차 정비하지 않아 현장에서 혼란이 크다”며 “사업 특성상 지역과 대학을 잘 아는 전문가 중심의 인사 원칙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다예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