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혁신도시 10년, 현주소]지역과 상생노력 낙제점…섬처럼 고립 자초
상태바
[울산혁신도시 10년, 현주소]지역과 상생노력 낙제점…섬처럼 고립 자초
  • 주하연 기자
  • 승인 2025.10.28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함월산에서 바라본 울산혁신도시 전경 /울산시 제공
함월산에서 바라본 울산혁신도시 전경 /울산시 제공

울산혁신도시가 내년이면 조성 10년차를 맞는다. ‘혁신도시‘는 이전한 공공기관을 수용해 산·학·연·관이 긴밀히 협력하는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를 표방한다.

과연 울산혁신도시는 어느 단계에 와있을까. 공공기관 10곳이 모두 이전을 마치며 행정·산업 기능은 뿌리를 내렸지만, 정작 지역과의 상생은 낙제점 수준이다.

울산혁신도시는 여전히 협력의 부재, 침체된 상권, 산업·연구의 단절 등 해결해야 할 과제를 잔뜩 안고 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시즌2’를 대비해서라도 인프라 확충, 도시기능 향상 등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3차례에 걸쳐 울산혁신도시의 구조적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 등을 살펴본다.

◇산업인프라 튼튼 협력구조는 부실

울산혁신도시는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에 따라 조성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007년 4월 착공해 2016년 12월 준공했다. 총사업비 1조390억원이 투입됐으며 계획 인구는 2만명 규모로, 도심 형태는 정방형이 아닌 일(一)자 구조로 조성됐다. 2019년 한국에너지공단의 입주를 끝으로 10개 공공기관의 이전이 완료되면서 물리적 기반은 완성됐다.

현재 3990여명의 공공기관 종사자와 1만944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방세 납부액은 226억8000만원에 이른다.

그러나 외형적 완성도와 달리 지역경제 파급 효과는 미미하다.

최근 혁신도시정책연구원이 발표한 ‘혁신도시 상생지수’에서 울산은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D등급(468.75점)으로 7위에 머물렀다.

세부 항목별로는 △성장 C등급 △활력 E등급 △협력 D등급을 받았는데, 특히 배점이 가장 높은 협력 부문에서 전국 평균을 밑돌며 좋은 등급을 받는 데 실패했다.

이는 지역 산업·연구와의 연계에서도 확인된다. 울산은 에너지·산업안전 등 국가 기간산업 관련 기관들이 밀집해 있지만, 지역 산업이나 대학과의 연계 사업은 활발하지 않다. 지역 기업의 참여가 낮아 혁신도시의 경제 효과가 지역으로 충분히 환류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혁신도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지자체와 공공기관 간 협력 구조가 작동하지 않아 울산혁신도시는 ‘행정 섬’으로 고립됐다”고 진단했다.

◇‘공공기관 따로, 지역 따로’

상생지표의 핵심 항목인 ‘지역경제 환류’ 부문에서도 울산은 부진했다.

지난해 기준 울산혁신도시 10개 공공기관의 지역 물품 우선구매액은 734억7500만원으로, 전국 평균(1450억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부산(687억원)보다는 높지만 광주·전남(9065억원), 강원(2140억원) 등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지역인재 채용률도 37.7%로, 전국 평균(41.5%)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산업안전보건공단(83.3%)과 산업인력공단(66.7%)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한국석유공사(36.4%), 동서발전(30.2%), 근로복지공단(42.9%) 등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과 한국에너지공단은 지역인재 채용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기관별 상생 의식과 실천 수준의 편차가 크면서, 도시 전체의 협력 지표가 하락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제도의 한계가 아닌 ‘관계의 부재’로 진단한다. 산업 기반이 탄탄한 울산조차 기관·지자체·대학이 각각 따로 움직이면서 협력 거버넌스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민원 혁신도시정책연구원장(전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기관 유치만으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하다”며 “혁신도시는 지역의 생존 과제이며, 정부 지원과 지역 주체의 협력이 결합되지 않으면 ‘성장 없는 혁신’으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원장은 “2차 공공기관 이전은 기존 혁신도시의 한계를 보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연관 기관을 집적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산업별 특화 클러스터로 재편하는 ‘시즌2 모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