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오후 2시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철거를 앞둔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고, 가족들의 간절한 바람에도 7명 모두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사고가 발생한지 8일째인 13일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인 HJ중공업이 공식으로 사과했지만 울며 겨자 먹기식, 늦장 사과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소방당국의 밤낮 없는 수색으로 14일 마지막 실종자의 시신이 수습되면서 현장 수습이 완료될 때까지 발인을 미뤘던 고인들도 하나둘 발인에 들어갔다.
17일 남은 4명의 피해자들까지 발인을 마치면서, 사고 피해자 가족들로 구성된 가족대표단도 조만간 공식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행동할 예정이다.
피해자 가족들은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원하고 있다.
가족대표단 임시 대표자 A씨는 본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정확한 진상 규명과 처벌이 우선돼야 한다. 더 이상 꼬리 자르기, 책임 떠넘기기식 대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원청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법제화돼야 한다”며 “대규모 시설의 설비를 해체할 때는 민관이 합동 검사를 통해 단계적으로 승인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매몰자 수습이 마무리되면서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며, 경찰은 노동 당국과 별도로 사고 당시 현장 책임자 등에 과실이 없었는지를 따지고 있다.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공단 등이 참여하는 현장 합동감식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과 강력한 책임자 처벌로 두 번 다시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취약화 작업에서의 위험성 제거부터, 안전관리 기능은 제대로 됐는지, 비숙련 노동자를 무리하게 투입한 것은 아닌지 등 피해자 가족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피해자 가족들은, 회사가 작업 계획서에 따라 일했지만 불가항력적으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이야기한다며 답답해 하고 있다. 실제로 도급업체인 코리아카코는 기자회견에서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 어렵다고 말한 바 있다.
큰 사고는 우연히 발생하지 않는다. 반드시 그 전에 경미한 징후들이 반복된다. 그 징후들을 정확히 밝혀내고 사고 책임자에게는 강력히 처벌해야 산업수도 울산의 불명예를 회복할 수 있다.
권지혜 사회문화부 기자 ji1498@ksilb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