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정부와 자원개발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김 사장의 면직안을 재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임식은 24일 열린다.
김 사장은 2021년 취임해 올해 9월 임기가 끝났지만, 동해 심해 가스전 외자 유치 등 주요 업무가 진행 중인 점을 고려해 후임 인선까지 자리를 지킬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국정감사에서 액트지오를 자문사로 선정한 과정이 문제로 제기되면서 산업부가 감사원 감사를 의뢰했고, 결국 사의를 표명했다.
글로벌 오일 메이저 셸 출신으로 SK이노베이션 CTO를 지낸 김 사장은 취임 이후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자원 가능성을 찾는 ‘광개토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이는 ‘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로 이어졌다.
처음 공동사업자였던 호주 우드사이드가 사업성 부족을 이유로 철수하자 석유공사는 액트지오의 물리탐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독자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정권 교체 이후 사업 추진 과정과 자문사 선정의 적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커졌고 감사원은 현재 울산 석유공사 본사에서 관련 자료 조사와 면담을 진행 중이다. 최근 정부·여당의 부정적 기류가 강해지면서 사업 자체가 장기 보류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도 거론된다.
석유공사는 2차 탐사시추부터 참여할 해외 파트너사를 선정하기 위해 BP, 엑손모빌 등 오일 메이저가 참여한 국제 입찰 절차를 진행했고 내부적으로는 BP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확정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는 재검토 가능성을 언급하며 승인 결정을 미루고 있다.
업계에서는 1차 탐사시추 결과와 탐사 데이터를 검토한 BP 등이 참여 의사를 밝힌 만큼 사업성이 검증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제 입찰까지 마무리된 상황에서 정부가 멈춘다면 사업 신뢰도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주변국의 활발한 해저 자원 개발 흐름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