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위는 지역 청년 창업 실태를 알아보고 필요한 정책과 관련 교육 및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간담회를 마련했다.
청년 CEO 협회 임원들은 “예비 창업자들이 극복하기 힘든 부분은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능력, 경험 부족과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 영업·마케팅의 어려움”이라며 “청소년들에게 창업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과 프로그램이 실시돼야 하고 지역차원에서 창업자간 소통,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근호 위원장은 “청년창업이 활성화돼야 청소년 창업 교육의 기회도 확대될 수 있다”며 “청년창업준비자를 위한 지역인프라 구축과 행정·재정적 지원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