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불가항력 인정에도
시 등 지자체와 협업 등 부재
사전예방·사후조치 수긍 못해
지자체도 적극적 행정 나서야
울산시의회(의장 박병석)가 제9호 태풍 ‘마이삭’에 따른 정전 사태에 미숙하게 대응해 지역 기업 및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힌 한전은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시 등 지자체와 협업 등 부재
사전예방·사후조치 수긍 못해
지자체도 적극적 행정 나서야
울산시의회는 6일 성명을 통해 “한반도를 내습한 태풍 마이삭이 폭우와 함께 강풍을 동반하면서 적지 않은 피해를 안겼고, 울산은 바람에 의한 피해가 속출했다”며 “이번 태풍 내습에 따른 정전사태는 한전의 미숙한 대응을 여지없이 드러냈다는 점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특히 “태풍 등의 자연재해는 불가항력적인 측면이 있지만 문제는 사전 예방과 사후 조치가 수긍할 수 있을만큼 충분했느냐”라며 “정전은 어쩔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정전사태가 발생한 이후 피해를 입고 있는 해당 지역의 기업과 주민들에게 긴급한 재난문자를 발송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한전 역시 긴급 재난문자를 보낼 수 있는 공공기관이라고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고 부연했다.
시의회는 “한전이 정전 직후 충분한 정보만 제공했더라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한전의 미숙한 대응과 늑장대처로 기업들은 막대한 생산차질을 빚었고, 전기를 공급받아 가게를 운영해야 하는 소상공인들도 큰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기를 공급받아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자재와 냉장육, 어류 등은 모조리 폐기 조치 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한전의 협업 체제 부재도 지적했다. 시의회는 “한전이 독자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면 울산시를 비롯한 구·군 등과 사전에 협의하고 협업조치를 취했어야 했다”며 “정전사태에 미숙하게 대응한 한전의 일처리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의회는 이어 “태풍은 또 오고, 자연재해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정전사태도 재발할 수 있다”며 “한전은 한번 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하고, 울산시·구·군도 정전사태를 오롯이 한전의 책임으로 미루지말고 조금 더 적극적인 행정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