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공항중 활주로 최단 울산
기상악화시 이착륙 어려워
지난해 결항률 전국 3위
기상악화시 이착륙 어려워
지난해 결항률 전국 3위

21일 국민의힘 박성민(울산중·사진) 의원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받은 ‘공항별 결항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공항의 결항률은 2.6%다. 같은 해 포항 5.9%, 원주 3.4%에 이어 세번째로 높다. 울산보다 결항률이 낮은 공항은 김포, 김해, 제주, 대구, 광주, 청주, 무안, 양양. 여수 등이다.
2018년의 경우 포항(7.0%), 원주(5.2%), 군산(4.8%), 사천(3.5%)에 이어 울산은 다섯번째로 높은 3.0%를 기록했다. 2017년 역시 다섯번째로 높은 1.8%였다.
공항별 활주로 길이를 보면 울산공항은 2000m로, 김포 3600m, 김해 2743m, 제주 3180m, 대구 2755m, 광주 2835m 등 타 광역시 공항보다 월등히 짧다. 또 사천, 군산, 원주, 여수 등 연간 1000대 이하의 운항을 보이는 공항을 모두 포함해도 울산공항의 활주로가 국내 14개 공항 중 가장 짧다.
박 의원은 활주로 길이가 짧다보니 기상이 조금만 악화돼도 항공기의 정상적인 이착륙이 어려워 결항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박성민 의원은 “울산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타 공항에 비해 짧다는 것은 울산 시민들에게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실제로 살펴본 결과 전국 공항 중 가장 짧았다”며 “울산공항의 짧은 활주로와 잦은 결항과의 연관성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