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부대응 비판
국회차원 진상규명 요구
정의당도 대여 비판 가세
北에 군사 응징 주장까지
민주당 “북풍정치 말라”
야권 공세차단에 총력전
국회차원 진상규명 요구
정의당도 대여 비판 가세
北에 군사 응징 주장까지
민주당 “북풍정치 말라”
야권 공세차단에 총력전

특히 보수야당인 국민의힘과 유일 진보당을 내세우고 있는 정의당까지 대여공격에 집중하고 있다. 때문에 추석 직후 여론추이가 주목되는 가운데 다음달 7일부터 열리는 국정감사장에서 정면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정부가 서해상에서 실종됐던 해양수산부 공무원을 구출할 수 있었는데도 사실상 방치해 북한 총격으로 사망케 했다면서 그 책임을 문재인 대통령에게로 돌렸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국회 앞 계단에서 검은색 정장을 입고 검은 마스크를 낀 채 ‘대통령님 어디 계십니까. 우리 국민이 죽었습니다’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북한의 우리 국민 학살만행 규탄 긴급의원총회’를 개최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추미애 장관 아들을 구하려고 국방부가 얼마나 노력했나. 해수부 공무원을 구하려고는 그 10분의 1 노력이라도 했는가”라고 정부 대응을 비판했다.
또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낚싯배 침몰사고와 관련,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관한 국가의 책임은 무한 책임’이라고 말하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묵념한 일을 언급하며 “공무수행 중이었던 공무원을 위해 문 대통령이 묵념하거나 애도한 적이 있느냐”고 비판수위를 높였다.
정진석 의원은 사건 발생 직후 새벽에 열린 관계 장관회의와 관련, “참석자 중 한 사람이 종전선언 연설을 유엔에서 강행해도 되느냐고 얘기했다고 들었다. 그 의견은 묵살된 채 대통령에게 보고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이날 상무위원회에서 이번 사건을 “북한이 저지른 비인도적 민간인 살인”으로 규정,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심 대표는 국회 대북규탄결의안 채택을 머뭇거리는 민주당을 겨냥, “여권 일각에서 우리 국민의 생명보다 남북관계를 우선에 두는 듯한 시각은 교정되어야 한다”고 질타 했다.
북한에 대한 군사 응징까지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의당 관계자는 “이번 사건의 진실 규명 작업이 필요한데도 정부가 적극적이지 못한 측면이 분명히 있다”며 “민주당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내 진보정당으로서 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진상규명이 우선이라며 북한에 공동조사 수용을 재차 촉구했다.
이와 동시에 국민의힘의 공세에 대해선 ‘국정 흔들기’ ‘북풍 정치’라고 규정하며 차단 총력전을 펼쳤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진상 규명에 미흡한 점이 남았다. 북한은 진상규명에 협력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남북대화를 재개하라”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