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회 현장 시찰 기점으로
이상헌 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암각화 보존 최우선 정책 추진
이상헌 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암각화 보존 최우선 정책 추진

민주당 이상헌 시당위원장은 5일 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반구대암각화는 발견된 지 50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 10년, 다람뒤 쳇바퀴 돌 듯 발전 없는 논쟁으로 시간을 헛되이 보냈다”며 “더 이상 지난 실수를 반복해선 안된다, 이제는 방법을 바꿔야 한다, 보존을 우선적 문제로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암각화 보존 문제를 물 문제와 연계하면 죽도 밥도 안된다”고 일축한 뒤 “7000년 전 선사시대 생활상이 그려진 암각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 인류사적으로 최고의 가치를 지닌 세계적인 유물인 반구대암각화는 관광 차원에서 개발해야 한다”며 “그래야 보존이 가능하고, 물 문제는 따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시의 반구대암각화 관련 시정 방향 전환도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울산시가 암각화 보존과 물 문제를 연계하는 상황에 대해 “다른 시·도가 물을 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그 논리에 빠진게 울산시 공무원”이라며 “틀에 박혀선 안되고, 충격 요법을 줘서라도 바꿔야 한다, 사연댐에 배수로를 뚫어서라도 수위 조절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송철호 시장과 사전 협의한 사안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또 “부산시민들은 낙동강물을 90% 이상 먹고, 대구 역시 50% 이상 먹는다”고 언급했다. 이는 보존 정책 추진과정에서 물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경우 부산이나 대구처럼 낙동강물을 끌어오면 되지 않느냐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 위원장은 또 울산연구원이 최근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할 경우 태화강 국가정원의 침수 피해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보고서를 낸데 대해 “사연댐 기능을 용수댐에서 홍수 예방댐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의심을 갖게 한다”며 “울산시와 문화재청간 수문설치 교류협약 약 1년만에 정부 용역 예산이 잡혔는데, 용역을 앞둔 시점에 이같은 보고서가 나오면서 용역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하진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이 위원장은 국정감사 기간인 오는 13일 반구대암각화에서 문광위 현장시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문화재청장과 한국수자원공사 사장도 참석한다. 이 위원장은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개발을 위한 문제 해결의 패러다임을 바꿔 제21대 국회에서 보존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