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상수도 스마트 관리망 구축 등
지자체 맞춤형 뉴딜사업 윤곽 보여

13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송철호 울산시장을 비롯한 17개 시도 단체장들이 참석한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시도지사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이날 대통령 주재 뉴딜 전략회의에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정부 유관부처 장·차관은 물론 더불어민주당 원내외 지도부, 청와대 고위인사 등 당정청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또한 시도지사 가운데 시도별 대표적인 뉴딜사업을 통해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차별화된 면모를 보여주려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문 대통령·송철호 울산시장·김경수 경남지사
문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지자체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이 K-방역의 성공과 어려운 민생경제를 이겨나가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위기극복과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고 국가균형발전의 꿈을 이루기 위한 발걸음은 한순간도 멈출 수 없다”고 못박고 “정부는 담대한 지역균형발전 구상을 갖고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국가발전전략으로 한국판 뉴딜을 강력히 추진하고자 한다”고 역설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역 최대현안인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정부 지원 건의 외에도 국보 285호 반구대암각화 보전책과 맞물린 울산권 맑은물 공급책과 관련된 건의를 했다.
이와 관련, 송 시장은 “주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낙동강 통합물관리 사업이 필요하다. 한국판 그린뉴딜 사업에 반영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건의한다”고 말했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창원과 울산은 (교통측면에서) 여러번 갈아타야 한다. 불편하니까 차로 가야한다. 창원과 울산이 아니라 창원과 부산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하고 “창원에 있는 젊은 친구들이 부산에 놀러가고 싶어도 차가 없으면 가기가 어렵다”면서 동남권 광역철도망 구축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시도별 뉴딜사업의 윤곽
제2차 한국판 뉴딜 추진 전략회의에서는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계획한 뉴딜사업의 윤곽이 드러났다.
광역자치단체 11개, 기초자치단체 125개 등 총 136개 지자체가 디지털·그린 뉴딜 관련 사업 추진 구상을 내놨다. ‘울산형 뉴딜’ ‘경기형 뉴딜’ ‘강원형 뉴딜’ 등 지자체가 스스로 발굴해 주도하는 사업들이다.
부산은 명지 신도시 에코델타시티에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 시설을 설치하고 서부산권 지역에 난방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사업에 1조5000억원을 배정하기로 했다. 상생형 스마트 제조 실증 클러스터, 탄화규소(SiC) 파워반도체 생산 플랫폼 구축도 진행한다.
울산은 2023년까지 지방비 1000억원을 들여 노후 상수관 164㎞를 정비하고 ICT,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스마트 관리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경남은 민자 6조321억원으로 국산 풍력 터빈을 활용한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고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산업단지를 RE100(재생애너지 100%) 그린산단으로 만드는 사업에 나선다.
대구는 로봇화 공장을 확대하고 부품·소재·장비 국산화와 고도화를 지원한다. 사업비는 267억원 규모다.
경북은 영덕부터 포항까지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지방비 1072억원과 민자 8102억원이 투입된다.
전남은 신안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데 2030년까지 민자 46조원을 들인다. 한전도 이 사업에 참여한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