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여성 위한 제도 취지 무색
장관급 여성인사 가점 무의미
경선 치열하면 당락 주요변수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내년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의 ‘여성 가점’ 적용 여부를 놓고 묘한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다.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장관급 여성 인사에게까지 가점을 줄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과 여성 정치 확대 차원에서 마련한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상충하는 분위기 속에 지도부의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민주당 서울시장보궐선거기획단장인 김민석 의원은 18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여성 가산점은 주로 여성 신인 가산점이라는 점에 방점이 있었다”며 “어지간한 남성 후보들보다 더 세고 유명한 여성한테 또 가산점을 주는 것은 이상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있었던 룰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재보선 준비에 참여하는 김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여성 가점에 부정적으로 읽힐 수 있어 당내 파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 유력 여성 정치인의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보니 미묘한 분위기로 흐르는 모양새다.
현행 당헌·당규상 전·현직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을 지낸 여성 후보자는 당내 경선에서 본인이 얻은 득표수의 ‘10% 가산’을 받는다. 신인 여성 후보자에겐 ‘25% 가산’이 적용된다.
당내 경선이 치열하게 진행될 경우 가점이 당락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경선룰 논의시 유력 여성 인사에 대한 가점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헌·당규상 가점 제도는 여성이 정치로 들어오는 문호를 넓히자는 의미”라며 “이미 중량급인 여성 정치인에게까지 가점을 줄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내 주된 인식은 여성 정치 확대 차원에서 마련한 원칙에 예외를 두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데다 가점을 없애기 부담스럽다는 분위기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정해진 것은 그대로 지켜야 한다”고 일축했다. 보궐선거기획단 관계자 역시 “가산·감산 관련한 규칙을 이번 재보선에 굳이 달리 적용할 상황이 아니라는 공감대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8년 서울시장 후보 경선 당시 박원순 후보가 압승했지만 박영선 후보 역시 여성 가점 10%를 받아 우상호 후보(14.14%)를 5.45%p 차이로 앞선 바 있다.
다만 당헌에 경선 규칙을 ‘재보선에 대해선 달리 정할 수 있다’는 특례 조항이 있다보니 조정 가능성도 남아 있다.
우상호 의원은 최근 “여성 가산점은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장관들에게 몇 퍼센트를 주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을 텐데, 그건 당내 논의를 해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