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드 밴딩 동작으로 볼을 쳐 낼 수 있느냐는 프로 스윙과 아마 스윙을 구분하는 경계점이다. 볼이 날아가는 순간 클럽 헤드와 손목과 팔이 전방으로 쭉 펴지며 하체와 척추가 상체를 일으켜 세우는 모습은 가장 역동적이고 골프다운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상체가 들리거나 배치기를 한다거나 탑볼이 나는 경우는 허리 회전시 사이드 밴드 수행 부족이다.
전방에서 앞으로 굽히는 셋업 자세를 ‘포워드 밴드’라 하고 옆에서 봤을때 옆구리의 기울기를 사이드 밴드라 하지만 실제 스윙에서 임팩트시 몸을 정확히 회전시켰을 때 나오는 허리의 접힘 동작을 사이드 밴드(Side Bend, 옆쪽 굽혀짐) 동작이라 한다.
이는 클럽 헤드의 원심력과 왼쪽 축의 구심력을 작용시켜 클럽헤드와 볼이 충돌하는 절정의 동작이다. 이 동작을 정확히 한다는 것은 골프스윙의 최고 레벨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투어 프로들이 스윙의 리듬이나 궤도는 조금씩 달라도 사이드 밴드 동작은 모두가 비슷하게 보인다. 그 이유는 비거리와 방향성 외에 볼컨텍이 좋아진다는 점이다.

복부 근육을 활용한 사이드 밴딩 동작(사진 아래).
사이드 밴드를 운동역학적으로 설명하면 작용과 반작용의 힘이 발생하는 중간 지점이다. 즉 하체의 펌핑 동작은 지면 반력의 힘이기에 하체는 회전하면서 중력을 거스르고 위로 솟구치고(구심력) 척추와 어깨를 지나 팔과 클럽으로 전달된 힘은 클럽샤프트를 따라 바닥으로 내려치는 동작이(원심력) 서로 충돌을 한다.
이때 이 힘을 더 효율적 연결하는 통로가 되는 곳이 밴딩동작이며, 복부근육(코어 주변 근육: 버티는 힘 담당)과 오른 허리가(오른 허벅지와 복부의 각도) 그대로 머리 아래로 파고 들어가는 느낌이 있어야 한다. 이때 왼발은 지면을 차면서 펌핑을 하고 오른발도 안쪽을 이용해 지면을 한번 더 차면서 회전을 한다. 왼쪽 고관절과 허벅지 근육 복부 등 안정적으로 버티는 근육이 많이 필요하며 왼쪽 고관절 주변이나 하체 근력이 약하면 보상동작이 따르게 되며 제대로 하기 어렵다.

밴딩 동작을 익힐 때 처음 백스윙시 옆구리의 기울기가 매우 중요하다. 이때 옆구리가 들리거나 펴지거나 하면 안된다. 다운스윙시 사이드 밴딩 동작을 만든다고 오른쪽 어깨를 고관절 쪽으로 과도하게 많이 내리는 동작을 하면 뒤땅을 유발한다.
유연성이 부족하면 오른쪽 척추 기립근에 수축 동작이 많아 골프 부상도 올수 있다. 외복사근, 내복사근, 요방형근의 근육들은 사이드 밴딩 동작을 하는데 쓰이는 주동 근육들이기에 평소 스트레칭을 자주해서 유연성을 키워야 하는데 근력과 유연성이 부족한 중년 이상 골퍼들에겐 무리가 따르는 동작이다. 물론 사이드 밴딩 동작없이도 공을 칠 수는 있다. 다만 일관성과 비거리에 불만을 가져서는 안된다.
사이드 밴드라는 운동 방법도 있다. 덤벨을 들고 좌우 교대로 옆구리 기울기 운동을 반복하거나 기구 없이도 맨몸으로도 할 수 있고, 바닥에 앉아서 다리를 벌리고 좌우로 옆구리 스트레칭하는 방법도 있다. 왼팔로 정면에 스틱을 집고 어드레스 자세로 머리를 고정하고 오른쪽 골반을 머리 아래로 밀어 넣는 연습방법도 도움이 된다. 하체의 지면 반력이 회전력으로 바뀌며 정확한 균형감과 상체로 순차적 연결하는 골프 스윙 기술이 사이드 밴딩이다. 김영하 파크애비뉴(선암동) 책임지도프로 PGA CLASS A·USGTF 마스터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