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울산의 산업구조상 야외노동자와 취약계층인 노인의 온열질환자 비중이 높아 이에 따른 맞춤형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11일 울산시민연대는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 수는 2.3명으로, 특·광역시 중 2위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위는 광주(2.7명)였다.
이는 질병관리청의 ‘2020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결과’에 따라 응급실에 접수된 자료만 활용된 수치로 울산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26명이었다.
하지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경우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면 이보다 4배 가량 많다고 시민연대는 설명했다.
울산의 온열질환자 발생률 중 ‘야외노동자’와 ‘65세 노인’은 광역시 중에서 1위, ‘저소득층’은 2위로 나타났다.
울산의 폭염 위험 지역과 무더위 쉼터 불일치도 지적했다.
국민재난포털 자료 등에 따르면 올해 기준 울산에서 폭염 취약성 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울주군(0.46)이었다.
이어 북구(0.32), 남구(0.30), 중구(0.28), 동구(0.26) 등의 순이었다. 읍면동별로도 취약지수 편차와 무더위 쉼터 수의 차이가 컸다.
취약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범서읍으로 0.72에 달했다. 범서읍의 무더위 쉼터는 울산에서 가장 많은 55곳이었다.
그러나 동구 대송동은 취약지수 0.44로 울산에서 상당히 높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쉼터가 6곳에 불과해 동구 평균 13곳의 절반에 못미쳤다.
남구 수암동 역시 0.42로 취약지수가 높지만 쉼터는 남구 평균(22개)의 3분의 1인 7곳에 불과했다.
울산의 열대야 일수가 지속 증가하지만 무더위 쉼터 중 야간에 운영되는 곳은 1곳도 없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산시민연대는 또 지자체가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통해 일정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대상 추정가구 대비 신청가구의 증가폭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의 2020년 기준 에너지 바우처 대상(추정) 가구는 2944가구로 전년대비 10.3%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신청가구는 2754가구로 전년대비 7.6% 증가하는데 그쳤다.
시민연대 관계자는 “폭염은 자연재난이지만 그 피해는 소득과 연령 등에 따라 그 정도가 크게 달라지는 사회재난이라는 점에서 울산시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또한 구군별, 읍면동별로 취약한 곳을 개선하고, 조선 및 화학산업 등 야외노동자의 온열질환이 많은 만큼 사측의 적극적인 안전조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