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주거·인구 ‘三절벽시대’]양질의 일자리 부족에다 인프라도 허술 “스펙쌓기 어렵다”
상태바
[일자리·주거·인구 ‘三절벽시대’]양질의 일자리 부족에다 인프라도 허술 “스펙쌓기 어렵다”
  • 권지혜
  • 승인 2022.01.1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신종코로나 시기 이전에 열린 울산 청년 일자리 채용박람회에서 취업예정자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경상일보 자료사진

경기침체와 고용불황이 지속되면서 2030 청년층 중심의 탈울산 행렬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울산지역 순유출 인구는 1만3000여명.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2030 청년이다. 제조업 도시 울산의 일자리 부족, 주거와 학업 등이 지역 청년들이 울산을 떠나고 있다. 울산시와 구·군 지자체가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각종 사업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불구, 청년층 이탈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대 청년층과 이동진 청년재단 울산센터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2030 청년들이 울산을 떠나는 근본적인 이유를 진단하고 탈울산방안을 모색해 본다.
 

◇울산 청년들, 왜 울산을 떠나는가?

울산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나왔지만 타지역으로 대학을 간 A양(21)은 “울산에서 한평생을 살다보니 타지역은 어떨지에 대한 막연한 궁금증이 있었다. 그래서 대학원서를 넣을 당시 울산에 있는 대학은 지원하지 않았다”며 타지역 대학에 진학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A양은 “대학생활에서 공모전이나 서포터즈, 인턴은 중요한 스펙 중 하나다. 하지만 울산은 스펙을 쌓을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하다. 모 기업 서포터즈로 활동할 때 대구, 부산 등에서는 많은 팀이 참여했지만 울산은 참여팀이 없었다”며 울산의 부족한 인프라에 대해 지적했다.

타지역에서 대학교를 졸업하고 울산에서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B양(24)은 울산의 일자리 비다양성과 일자리 미스매칭을 지적하며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울산의 미래는 어두울 것이라 전망했다.

B양은 “울산시에서는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청년들의 취업을 돕기 위한 여러가지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 중심의 울산 특성상 일자리 다양성이 부족해 일자리 미스매칭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청년층 유출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에서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타지역에 취직한 C군(29)은 “울산의 취업모집 공고를 보면 하청업체가 대부분이고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경쟁률이 너무 높아 취직하기 힘든 구조다. 인근의 타지역만 살펴보더라도 중견기업들이 많다”며 울산을 떠난 이유에 대해 말했다.

실제로 울산상공회의소가 지난해 발간한 ‘울산지역 청년층 유출방지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 사이에 울산지역 청년(만 15~39세) 인구 7만5717명이 울산을 떠났다. 최근 3년간 울산을 떠난 사유로는 ‘직업’이 전체의 절반에 달했고, 가족, 교육, 주택 순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는 △학생인 15~19세의 경우 교육과 직업 △대학생·구직자인 20~24세의 경우 직업과 교육 △구직·재직자인 25~29세 및 30~34세는 직업과 가족을 이유로 울산을 떠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등 관련 청년 취업과 교육·정착환경 개선 시급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제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에 따른 일자리의 비다양성과 코로나로 인한 주력산업의 경기침체로 줄어든 일자리, 일자리 미스매칭 등이 청년층의 이탈을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수도를 자처하면서도 종합대학은 1곳 뿐이어서 수십년째 수천명의 학생들이 ‘인 서울’ ‘인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지역 산업구조가 중후장대형 산업 뿐이어서 갈수록 IT산업은 물론 AI, 메타버스,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기반까지 약화되고, 뒤처지고 있다.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 비해 정주환경과 문화·여가시설도 취약하다.

이동진 청년재단 울산센터장은 청년층 탈울산을 막기 위해선 울산의 중견기업 발전과 다양한 인턴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센터장은 “울산의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가지 않는 이유는 산업단지에 대한 고립감, 대졸자 청년들에게 주어진 한정적 일자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높은 임금격차, 제조업 중심의 꼰대문화 총 4가지를 들 수 있다. 일자리 자체가 극단적이기에 타시도에 비해 일자리에 대한 눈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청년들이 원하는 공무원, 공기업 채용규모가 줄어들고, 업황부진과 자동화 등으로 대기업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해진 것도 청년층 이탈에 한몫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현재 울산의 중소기업 청년채용지원정책은 산업단지 제조업 중소기업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기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관광공사, 울산문화재단 등을 통한 관련 기업 육성정책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울산의 부족한 인턴기회와 수시채용을 통해 곧바로 실무수행이 가능한 중고신입을 선호하면서 신입이 입사하기 어려운 채용구조도 개선되야 한다고 지적됐다.

한편 울산시는 올해 청년예산으로 1000억원 가량을 편성하고, 일자리·주거·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대 분야 76개 세부사업을 담은 청년지원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곳곳 버려진 차량에 예산·행정 낭비
  • [지역민도 찾지 않는 울산의 역사·문화명소]울산 유일 보물 지정 불상인데…
  • 확 풀린 GB규제…울산 수혜 기대감
  • 궂은 날씨에도 울산 곳곳 꽃놀이 인파
  • [기고]울산의 랜드마크!
  • 이재명 대표에서 달려든 남성, 사복경찰에게 제압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