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윤석열정부 국정과제화 청신호
상태바
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윤석열정부 국정과제화 청신호
  • 이춘봉
  • 승인 2022.04.1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울산 공약인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육성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울산시는 정부 지원을 통해 선박의 통합 건조 시스템 체계를 구축, 2030년 이후 글로벌 조선해양 시장 경쟁력 확보의 중심에 선다는 전략이다.

1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윤 당선인의 울산 공약인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육성을 울산 실정에 맞춰 ‘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조성’으로 가다듬었다. 시는 조선해양산업 선진국인 유럽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기획했다. 시는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에 맞춘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유럽 중심의 친환경 자율운항선박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사업을 추진한다.

유럽은 일부 기자재 기업을 중심으로 정부의 지원 아래 조선해양산업의 건조 시스템 통합화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는 개별 기자재에 대한 개발과 납품이 이뤄지고 있지만 선박 건조 시스템 통합화가 진행되면 연료체계와 AI 기반 항행통신, 동력체계 등이 하나로 연계된다. 유럽이 제시하는 통합 시스템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기자재 활용과 수출이 극히 제한돼, 유럽 중심의 선박 기술 시장으로 재편된다.

시는 조선해양산업의 시스템 통합화가 진행된 유럽의 선진 기술력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선박을 수주하더라도 전체 건조 비용의 30%가량을 시스템 이용 수수료 등의 명목으로 제공해야 해 수익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선박의 지능화·고급화가 진행될수록 지불해야 할 수수료는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 건조는 한국이 담당하지만 돈은 유럽이 버는 구조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시는 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조성으로 돌파구를 찾기로 했다. 유럽이 개발하는 시스템에 대항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 유럽의 검증 체계를 통과한다는 전략이다.

시는 시험 체계부터 제품 출시까지 전 단계를 검증하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증 체계를 구축해 실제 환경에서 검증을 실시하면, 기준이 까다로운 선주사의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생산 측면에서는 자율형 시스템 기반의 협업 생산 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 스마트 선박과 연계한 실·가상 융합 실증 플랫폼을 개발하고, 오픈 플랫폼 기반의 혁신 기자재 기술 개발 지원 서비스 생태계를 조성한다. 대·중소기업 지원 및 산학연 공동 연구·인재 육성 환경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등 중·대형 조선사가 2곳이나 있고, 자율운항센터와 한국에너지 공단 등이 위치해 있으며, ETRI와 기술 협업도 진행하는 등 R&D 지원 생태계가 구축돼 사업의 최적지라는 입장이다. 총 사업비는 국비 1500억원, 시비 910억원, 민자 390억 등 2800억원에 달한다. 시는 내년부터 2027년까지 울산이 주도하는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전기추진체계 그린십 클러스터 조성의 필요성을 인수위에 제기했다. 시는 장비 분야에 특화된 부산과 기계부품 중심의 경남은 물론 전국의 항해통신장비 등을 도입해 울산에서 실험한 뒤 시스템을 통합화해 전국 조선사에 보급한다는 전략을 인수위에 전달했고, 인수위는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춘봉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도시철도 1호선, 정차역 총 15개 조성
  • ‘녹슬고 벗겨진’ 대왕암 출렁다리 이용객 가슴 철렁
  • 울산 동구 주민도 잘 모르는 이 비경…울산시민 모두가 즐기게 만든다
  • 제2의 여수 밤바다 노렸는데…‘장생포차’ 흐지부지
  • [울산 핫플‘여기 어때’](5)태화강 국가정원 - 6천만송이 꽃·테마정원 갖춘 힐링명소
  • [창간35주년/울산, 또 한번 대한민국 산업부흥 이끈다]3년뒤 가동 年900억 생산효과…울산 미래먹거리 책임질 열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