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수도권 대학 총장들이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수도권 대학 위주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 연합(총장협의회 연합)은 7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반도체 인력 양성 대응은 비수도권 대학에 심각한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수도권 제외 9개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인재 양성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비수도권 대학총장협의회 연합은 비수도권 7개 권역(대전·세종, 충남, 부산·울산·경남, 제주, 광주·전남, 대구·경북, 전북, 충북, 강원) 127개 대학 총장들로 구성됐다.
교육부 등 정부부처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 주문에 따라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을 꾸리고 인재양성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방안 중 하나로 수도권 대학 학과 정원을 증원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비수도권 대학들은 일제히 반발했다.
총장협의회 연합은 입장문에서 “수도권 대학 정원의 총량규제는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가장 확실한 방어책이자 최후의 보루”라며 “수도권 대학 정원 총량을 늘리면 그 증원 부분만큼 지역대학을 직접 타격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이제는 지방대학시대’라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 부합하도록 반도체인력 양성 정책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총장협의회 연합이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한 반도체 분야 부족인원은 약 1600명이다. 이 가운데 대졸 인력 부족분은 530명으로 추산했다.
이에 총장협의회 연합은 해당 부족분을 확충할 방안으로 수도권 제외 9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소재 국·공·사립대 10여곳을 선정해 대학별로 평균 60여명씩 양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대학은 학부 학생정원을 늘리는 대신 대학 내 정원을 조정하는 등 시스템 반도체 특화 전공을 자체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석·박사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에서 관련학과 대학원 정원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전국 지역거점 반도체 설계교육센터(IDEC) 운영비 지원 강화 △반도체 공정교육센터(Fab)에 대한 설비투자 강화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 반도체 분야 인력 양성 확대 △지역대학 중심의 초광역권 반도체 공유대학 운영 등을 제안했다.
이들은 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