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울주군 서생면 에너지융합일반산업단지 내에 원자력 재난 대응 전담 119안전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가동 원전 7기와 건설 원전 2기, 폐쇄 원전 1기 등 전국 최다인 10기의 원전이 밀집된 지역 상황을 감안해 센터를 건립키로 했다.
센터 건물은 중량 콘크리트와 납판을 복합 시공해 건물 내부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주민 소개 고려 기준 이하로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만약 센터가 없을 경우 초기 대응 요원은 지속적으로 방사선에 피폭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교대해야 해 신속한 대응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센터는 최일선에서 원전 재난에 대응하는 소방·경찰이 안전하게 휴식을 취하는 베이스캠프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센터에는 긴급 냉각수 주입 및 제염 기능을 갖춘 무인파괴방수차, 누출 방사선량 측정 및 재난 영상 실시간 송출이 가능한 상황 분석용 고성능 드론 등 첨단 장비를 배치한다. 원자력안전위원회 현장방사능지휘센터 등에 상황을 전달하는 통신 설비 연동 시스템도 구축한다. 시는 내년 상반기 설계를 마친 뒤 하반기 착공해 2024년 6월 센터를 건립할 계획이었다. 이에 소방청에 내년 예산 83억원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소방청은 소방헬기 등 산불 대응 장비 편성으로 소방청의 사업 예산이 축소된 상황에서 편성 사례가 없는 공유재산 성격의 지방 사업에 예산을 신규로 편성하는 것은 어렵다며 예산을 전액 반영하지 않았다.
시는 원전이 국가 기간 시설이며 사고 시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는 만큼 반드시 정부 예산을 반영해 시설을 조성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시는 전국 최대 원전 밀집지인 울산에 센터를 시범 조성한 뒤 운영을 거쳐 설립을 법제화해 전국 원전 인근 지역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기획재정부를 설득해 내달까지 편성되는 정부안에 예산을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불발될 경우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인 행안위원회 이채익 위원장 등을 중심으로 국회 증액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방사선 누출에 안전한 전진 지휘소를 구축하면 중단 없는 현장 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원전 사고에 대한 대응력 강화로 국가의 원전 안전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