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고독사 위험자를 조기 발견하고 상담, 치료 및 서비스 연계 등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9개 시·도를 선정해 8월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1일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사업이 일부 지자체에서 분절적으로 추진된 점을 감안해 정부 차원에서 고독사 예방을 새로운 정책 과제를 설정하고,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시범 사업이 실시되는 지역은 울산시와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 9개 시·도와 해당 시·도 내 39개 시·군·구다. 울산에서는 중구와 남구가 대상지로 선정됐다. 시범 사업은 안부확인 중심형, 생활지원 중심형, 심리·정신지원 중심형, 사전사후 관리 중심형 등 4개 분야로 진행된다.
중구는 안부확인+생활지원중심형으로, 남구는 안부확인+생활지원+심리·정신지원중심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두 지자체는 노인·장애인·질병 고위험군 등 실질적 1인 가구를 대상으로 AI 안부전화 서비스 운영, 한전 지능형 전력계량 시스템 활용 살핌 서비스 등을 운영해 고독사 위험군을 관리한다. 또 긴급 복지와 각종 급여 서비스 연계 지원 등 경제적 지원은 물론 정신건강 등 관리를 위한 기관 연계도 진행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시범 사업은 정부가 본격적으로 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자 고독사 위험이 있는 사람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제도 구축의 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