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지난 24년간 ‘1인당 GRDP(지역내 총생산)’ 전국 1위 자리를 사수했지만, 정작 지역 생산이 주민소득으로 직결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1년 지역소득(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 지역내총생산(GRDP)은 77조7000억원으로, 2020년 대비 실질 성장률이 3.7%를 기록했다. 그러나 울산에서 창출된 부가가치가 타 시·도로 빠져나가는 ‘소득의 역외 유출’ 현상이 수그러들지 않아 지역경제의 불안정성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의 역외 유출은 그 규모 자체도 문제지만 도시의 위상과 지역경제의 역동성, 상인들의 소득, 주민들의 정주의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인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소득의 유출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소멸과도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으므로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통계청에 의하면 울산시민이 지난해 지역 밖에서 벌어온 ‘지역외순수취본원소득’(지역내 총소득-지역내 총생산)은 -11조원에 달했다. 전국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지역외순수취본원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은 것이다. 특히 서울이 +43조원를 기록하고, 가까운 대구와 부산이 각각 +9조원과 +8조원으로 집계된 것과는 큰 대조를 이뤘다. 지역내 총생산 규모가 전국 1위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외순수취본원소득이 마이너스 11조원에 달했다는 것은 울산시민들이 지역내 사업장에서 받은 급여의 상당 부분을 울산 이외의 지역에서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역외순수취본원소득이 서울과 부산, 대구 등지로 쏠리고 있는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실제 울산의 생산공장에서 급여를 받아 서울에서 소비를 하는 경우를 우리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각종 조사분석 자료에 따르면 울산은 지역 내 소비 성향이 전국 최하위 수준이고, 총생산 대비 민간소비 비율도 전국에서 가장 낮아 높은 소득수준에 비해 자영업 기반이 매우 취약한 곳이다. 여기다 쇼핑·문화·여가 인프라 등 정주여건은 열악한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득의 역외 유출은 지역경제의 토대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소득의 역외 유출이 가장 많은 울산은 지역 내에서 생산→분배→지출이 작동하는 선순환구조를 하루 빨리 구축해야 한다. 지역소득의 유출을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공장만 남고 소비는 없는, 그야말로 도시가 아닌 생산기지가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