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연구개발(R&D)·설계, 생산에서 뛰어난 반면, 에이엠(AM·After Market) 서비스와 수요 측면에선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경쟁력에선 1위를 차지했지만, 일본·중국에 견줘 격차는 크지 않았다.
11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조선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재작년 기준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종합 경쟁력은 100점 만점에 86.7점으로 전세계 1위였다. 연구개발(R&D)·설계, 조달, 생산, 애프터마켓(AM)·서비스, 해운·에너지산업 수요 등 5단계 가치사슬별로는 일부 분야에서 주요 경쟁국에 비해 다소 뒤처졌다.
R&D·설계(89.1)와 생산(91.9)은 모두 1위를 차지했지만, AM·서비스(79.0)와 수요(81.0)는 중국, 일본에 비해 낮아 3위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종합 경쟁력 점수도 2위인 일본(84.6), 3위인 중국(84.0)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선종별로는 가스운반선, 컨테이너선 경쟁력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조선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치사슬의 강점인 연구개발·설계 부문에서 탄소중립 및 디지털 전환으로 창출되는 친환경·스마트 선박 관련 기술개발과 인프라(기반)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국제해사기구(IMO)와 유럽연합의 환경규제 강화를 배경에 깔고 있는 제안이다.
국내 조선업은 최근 2년간 대규모 수주로 3년 치 일감을 확보했지만, 2016년 이후 장기간 이어졌던 불황의 여파로 인력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