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도는 4선의 김학용(경기 안성)·3선의 윤재옥(대구 달서을) 의원의 ‘2파전’으로 사실상 굳어졌다.
김 의원은 4일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고, 윤 의원도 이날 출마를 공식화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두 사람 모두 ‘친윤’(친윤석열)으로 분류되는 만큼 이번 경선은 1년 앞으로 다가온 차기 총선 승리를 목표로 원내 전략을 이끌 적임자를 가리는 선거가 될 것이라는 게 당내 중론이다. 이번 경선의 변수로는 우선 지도부 내 지역 안배론이 꼽힌다.
김 의원은 당내에 드문 수도권 중진으로 외연 확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중도·부동층 표심 확대에 적격이라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출마 선언에서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바람몰이의 선봉이 되겠다. 2030·중도층 지지를 확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영남권 당 대표와 수도권 원내 사령탑이라는 환상의 조합”이라며 울산이 지역구인 김기현 대표와 지역 안배 차원에서 자신이 ‘상호 보완’의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윤 의원의 경우 최근 여권에서 심심찮게 거론되는 ‘TK(대구·경북) 홀대론’을 잠재울 수 있다는 점이 경쟁력으로 거론된다.
윤 의원은 이날 출마 회견문을 통해 “각자도생의 길이 아니라, 모두가 이기는 길을 반드시 찾아내겠다”고 했다. 총선을 앞둔 현역 의원들의 최대 관심사인 ‘공천’과 관련해 원내대표 선거 유권자인 의원들 표심에 호소한 것이다.
또 다른 변수로는 대야 협상력 및 투쟁력이 꼽힌다.
차기 원내대표에게는 총선 전까지 거대 야당을 상대로 쉽지 않은 협상을 통해 윤석열 정부 국정·개혁 과제를 완수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총선 승리를 끌어내는 능력이 최우선 자질로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 의원은 야당 시절 원내수석부대표를 한 것과 지난 대선 때 당 중앙선대본부 상황실장을 맡은 이력을 강조하고 있다.
김 의원도 국회 국방위원장·환경노동위원장 등 상임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직 등의 경력을 통해 대야 투쟁력이 충분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