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음 주부터 시작하는 전원위 논의에서 의원 수를 감축하는 것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최소 30석 이상 줄일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지 않고 있는 마당에 신뢰 회복을 위한 특권 내려놓기조차 없이 선거 제도만 개편하자는 것은 국민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또 “전원위 논의 시작 전에 가장 중심에 있는 대전제는 민심이다. 민심이 모든 판단의 최대 가치이자 기준이다. 국회의원의 권한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것임을 우리는 망각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은 국회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계신다. 제헌국회에서 국회의원 의석수를 200석으로 시작했고 헌법에서도 200인 이상이라고 200이라는 숫자를 명시 규정하고 있는 이유를 생각해 봐야 한다. 지금의 300석이 절대적인 숫자인지 따져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달 실시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57%에 달하고 세비 총예산을 동결한다고 하더라도 정수를 늘려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무려 71%에 육박한다.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69.3%로 높은 반면,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9.0%, 8.6%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여당이 정치적으로 어려울 때마다 의원 정수를 무슨 약방의 감초인양 꺼내 쓰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집권 여당의 당 대표로서 의원 정수 축소가 당의 공식 입장인지부터 밝히기를 바란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어제 여당 최고위원이 양곡관리법 대안으로 ‘밥 한 공기 다 먹기’운동을 펼치자고 해서 국민들의 실소를 자아냈다. 이렇게 무개념하고 무책임한, 그래서 인기에만 영합하고 당장의 위기만 모면하려고 하는 모습은 결코 국민에게 박수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수진 원내대변인도 취재진에게 “여당 당 대표가 의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주려고 한 것인지 매우 궁금한데 그렇다면 정개특위(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왜 필요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이 왜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최근 논란을 빚은 당 지도부의 잇따른 망언·실언에 사과하면서 총선 승리에 장애 요인이 되면 책임을 묻겠다고 공개 경고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