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현지 소비 감소하면서
수출물량 차질 불가피할듯
부재료 수입선 타격도 우려
울산항 항만안전 강화 위해
지난달 중순부터 비상체제
수출물량 차질 불가피할듯
부재료 수입선 타격도 우려
울산항 항만안전 강화 위해
지난달 중순부터 비상체제

이번 사태와 관련한 산업별, 기업별로 행정 및 유관기관들의 선제적 대응수준을 더욱 강화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중단기 대책을 조속히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력산업 생산·수출차질 확산일로 우려감 팽배
4일 울산지역 산업계에 따르면 신종코로나 사태가 현대차 공장의 ‘셧다운’에 그치지 않고 석유화학 등 대중국 수출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우려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이번 신종코로나 사태로 글로벌 최대 소비시장의 하나인 중국 내 현지 소비자체가 감소하면서 중국에 수출해 온 울산지역 석유화학업체들도 수출전선 차질에 비상이 걸렸다. 업계 내부에서는 벌써부터 수출선 다변화도 모색하는 분위기다. 중국 현지에 PE제품 계열인 EVA와 PVC제품 계열인 P-1000을 수출해 온 한화솔루션 울산공장은 당장은 기존 계약물량을 수출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수출물량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다른 석유화학업체도 수출차질로 재고물량이 쌓여 공장 내 야적장 부족 등이 발생하지 않을지 전전긍긍하고 있다. 중국 현지공장을 둔 지역 한 대기업은 중국 내수물량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현지 공장 생산라인 변화 등에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RUPI사업단장은 “원유 감산조치로 인한 유가 변동에 따른 영향과 그 무엇보다도 수요 부진이 가장 우려가 되는데, 가뜩이나 저성장 기조로 석유화학제품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신종코로나가 장기화하면 글로벌 수요가 급감할 것이기 때문에 첨가제 등 부재료의 수입선과 함께 중국 이외의 아세안이나 인도, 유럽 등으로 수출선도 다변화하는 대응방안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 주요 수출루트 ‘뱃길’ 안전망 구축도 필수
울산항만공사는 지난달 중순부터 비상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3일까지 기준으로 울산항에는 중국기항선박 61척이 입항했다. 하루평균 4~5건꼴이다. 주로 컨테이너, 일반화물 등 선종도 다양화되어 있다. 항만당국은 이들 선박에 대해 하선 최소화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울산항을 통한 대중국 수출교역은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이 1580만5606t이다. 이 기간동안 국가별 수출입화물 처리실적 기준 수출입화물은 총 1억8197만8139t이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