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韓 세계 수출점유율 2.7%…금융위기 이래 최저
상태바
작년 韓 세계 수출점유율 2.7%…금융위기 이래 최저
  • 이형중
  • 승인 2023.04.17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흔들리면서 지난해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글로벌 금융위기가 강타한 2008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16일 세계무역기구(WTO)와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수출액은 24조9044억8900만달러이며, 이 가운데 한국의 수출액(6835억8500만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2.74%로 집계됐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2020년 2.90%에서 2021년 2.88%로 떨어진 데 이어 2년 연속 하락한 것이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4년(3.02%) 처음으로 3%를 넘은 이후 2018년(3.09%)까지 5년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017년(3.23%)에는 점유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처음 발생해 팬데믹(대유행)으로 번진 2019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2.85%→2.90%→2.88%→2.74%)으로 2%대에 머물렀다.

작년(2.74%)에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의해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겪은 2008년(2.61%) 이후 최저치로 내려왔다.

2018년부터 본격화한 미·중 무역 전쟁으로 세계적으로 자국 중심주의와 보호 무역이 확산하고,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 같은 기조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무역협회 추산으로 수출 점유율이 0.1%p 하락하면 약 14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정도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친다.

한국의 최대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20.9%까지 올랐다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17.3%→19.4%→19.9%→18.9%) 20% 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올해 1~3월에는 비중이 13.6%로 뚝 떨어졌다.

이런 수출 위기는 외부 요인뿐 아니라 내부 요인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까지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무역적자 행진이 13개월째 이어졌다.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해 477억8400만달러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들어 3월까지는 224억100만달러로 이미 작년치의 46.9% 수준에 이르렀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