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태 최고의원은 최근 자신이 언급은 잇단 ‘실언’으로 한 달간 최고위에 불참하며 근신 중인 김재원 최고위원 경우와는 다르다는 취지의 입장도 밝혔다. 때문에 당 안팎에선 윤리위 징계 여부 조차 여의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태 최고위원은 24일 당 최고위원회의에 직접 참석해 제주 4·3, 백범 김구 선생 관련 등 논란이 된 발언에 대해 “소신대로 말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20일 최고위 회의 불참에 대해선 ‘개인 사유’ 때문으로, 최고위에 나오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태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 모두발언에서 “지난번 최고위는 그 누구의 요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 개인적 사유로 불참한 것이다. 현 상황에서 제가 최고위에 나오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했다.당시 최고위 불참이 김기현 대표의 ‘경고’ 때문이라는 해석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태 최고위원은 “제가 이 자리에 있는 이유는 당원들이 선택해줬기 때문이다. 지난 전당대회는 여론조사 3% 꼴찌로 시작했으나, 그렇다고 저는 엄한(애먼) 곳에 도움을 구걸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이어 “과거 전광훈 목사가 저를 간첩 같다고 비난했음에도, 전당대회 기간 제 주변에서 전 목사에게 간첩 발언 자제하게 해 달라고 연락 좀 해 보라고 한 제안도 단칼에 거절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저는 우리 위대한 당원들의 지지를 믿고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해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참에 전광훈 목사에게 한마디 하겠다. 정말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를 위한다면 조용히 있어 달라”고 언급했다.
이날 태 최고위원의 전 목사 관련 발언을 놓고선 ‘전광훈 목사 우파 천하통일’ 등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김재원 최고위원과 차이를 부각하려 했다는 말이 나왔다. 동시에 전당대회 때 전 목사에게 도움을 요청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던 김기현 대표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김 대표는 태 최고위원의 ‘역사 문제는 소신 발언’ 언급과 관련 “그 외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서 무슨 내용인지 잘 모르겠다”며 “무슨 이야기인지 해석은 본인에게 물어봐야죠”라고만 답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